로봇 [미디어@미래] ⑤로봇저널리즘, 국내서 보편화될 수 있을까 로봇저널리즘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한 4번째 글에서는 “로봇저널리즘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단숨에 많은 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기술 기반의 장밋빛 논의가 다수를 이루기에, 저널리즘... 2015년 7월 27일
19금 곰 테드 [미디어@미래] ④로봇 기자와 ‘19금 곰 테드’ 최근에 개봉한 영화 이야기로 로봇저널리즘 기획의 네 번째 글을 시작하려 한다. 지난 6월 국내 영화관에서 상영을 시작한 영화 '⑲금 곰 테드(Ted)2'. 이 영화를 보지 않았다고 이 글을 읽는 걸 꺼릴... 2015년 7월 21일
automated insights [미디어@미래] ③로봇, 저널리즘을 넘보다 첫 글에서 1800년부터 시작된 논의가 2회에 1995년까지 다다랐다. 이번 3회 글에서는 21세기 초반과 오늘을 말하고자 한다. “21세기 전후, 저널리즘에 가장 큰 변화를 초래한 배경이 인터넷이었다”라는 분석에 토를 달 사람은 거의... 2015년 7월 14일
CMS [미디어@미래] ②언론사 구조 흔든 ‘컴퓨터 조판 시스템’ 현재 신문 제작의 전 과정은 컴퓨터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취재기자는 컴퓨터로 글을 쓰고, 각 사의 기사집배선시스템(Content Management System, CMS)에 글을 올린다. 현장 기자들이 올린 기사는 CMS 내에서 분류화 작업을 거쳐... 2015년 7월 6일
로봇 저널리즘 [미디어@미래] ①300년째 반복되는 뉴스 콘텐츠 전략 알고리즘이 뉴스를 제작하는 로봇 저널리즘이 뉴스 산업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해외 유력 언론사들은 재해, 스포츠, 증권 보도 등에 이미 로봇 저널리즘이 활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에서도 이준환 서울대 교수팀을 중심으로 스포츠 기사... 2015년 6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