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r [메이커] 실험정신과 재미가 만났으니, '팹브로스 제작소' 파란색 벽에 분홍색 굴뚝, 건물 옆에 무심한 듯 서 있는 거대 기린인형.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팹브로스 제작소’ 건물은 개성 강한 외관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잡아끈다. 이런 건물을 만나면 으레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이다. 내부는 어떨지. 누가 어떤 일들을 꾸미는 곳일지. 그 답을... 한수연 2017년 10월 9일
데이터 데이터 사용자들의 축제, '데이터야놀자' 10월 개최 국내 데이터 관련 직무 관계자가 10월13일 한자리에 모인다. '데이터야놀자' 행사 얘기다. 데이터야놀자는 '데이터 사용자들의 축제’를 모토로 데이터를 다루는 기획자, 마케터, 개발자 등이 실무과정에서 겪은 경험을 나누는 행사다. 참가자와 발표자는 지식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에 관심있는 예비 기획자 및 개발자... 이지현 2017년 9월 26일
공개SW "한국 오픈소스 생태계 활성화? 이해와 참여가 해법" 나누면 나눌수록 의미가 더 커지는 것이 있다. IT 사회에서는 오픈 소스가 그러하다. 혼자서 붙잡고 있으면 무엇이 문제인지, 어떻게 더 유용하게 쓸 수 있는지 알기 힘들다. 오픈 소스는 모두가 함께 공유하고 협업해 더 나은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만든다. 국내에서도 오픈 소스의 중요성을... 이경은 2017년 5월 24일
Source hans serif 어도비·구글, 두 번째 오픈소스 서체 '본명조' 공개 문서 작업 프로그램에서 한글과 한자가 섞여 있는 문서를 열 때, 글꼴 때문에 한자가 깨져 있는 경험이 있다. 문서 작업을 할 때, 한자, 한글을 따로 지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어도비와 구글이 합작해 만든 '본명조(Source Hans Serif)'는 그런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어도비가... 이경은 2017년 4월 4일
A/B테스트 구글, A/B 테스팅 도구 '옵티마이즈' 정식 출시 웹사이트를 만들 때 고려해야 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본문 글의 위치는 어떻게 해야 가독성이 좋은지, 어떤 인력들을 써서 이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지 등 웹사이트 최적화를 위한 고민이 많다. 그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구글은 2015년 자체... 이경은 2017년 3월 31일
Guetzli 구글, 새 고화질 JPEG 압축 알고리즘 '구에츨리' 공개 이미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가 빨리 뜨고 데이터 사용에도 경제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구글이 또 한 번 사용자 환경을 개선한 오픈소스 기술을 선보였다. 새로운 JPEG 인코더 '구에츨리(Guetzli)'이다. 구글이 3월16일(현지시각) 구글 리서치 블로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구에츨리는 고화질 JPGE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이미지... 이경은 2017년 3월 20일
구글 '리캡차'가 사라진다 '캡차'(CAPTCHA, 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는 사람과 컴퓨터를 판별해주는 보안 과정이다. 회원 가입이나 비밀번호 찾기를 할 때 종종 볼 수 있다. 기껏해야 10초 남짓이지만, 귀찮다. 구글이 이런 귀찮음을 덜어주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는다. https://youtu.be/GeibaHfYW9o... 이경은 2017년 3월 13일
AMP 구글, AMP 아시아 시장으로 확대 휴대폰에서 웹페이지를 열다 보면 광고와 이미지 때문에 불필요하게 시간과 데이터를 많이 쓸 때가 있다. 한참을 기다려 나온 페이지가 정말 별 내용이 없을 때의 허무함과 어이없음은 또 어떤가. 구글은 여기에 대한 답으로 '가속 모바일 페이지(Accelerated Mobile Pages, AMP)' 프로젝트를 내놓았다. 이제... 이경은 2017년 3월 9일
거버먼트2.0 “트럼프가 백악관 오픈 데이터를 몽땅 지웠다” “오늘 트럼프가 백악관의 오픈 데이터 9GB를 몽땅 지웠다.” 트위터 이용자 맥스웰 오든(@denormalize)이 한국시간으로 2월15일 새벽 4시께 올린 트윗 내용이다. 백악관은 경제, 교육, 건강, 예산 등 정부 공공정보를 백악관 오픈 데이터 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다. 원본 데이터부터 일정과 차트, 관련 파일과 지도... 이희욱 2017년 2월 15일
IT열쇳말 [IT열쇳말] 라즈베리파이 프로그래머는 컴퓨터라는 도구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직접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창작자와 비슷하다. 과거 프로그래머는 소프트웨어 영역에서만 무엇인가 만들어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활동이 하드웨어 영역까지 확장됐다. 이른바 ‘메이커(Maker) 문화’가 생겨난 것이다. 이 메이커 문화를 부흥시킨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이지현 2017년 1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