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17일(현지시간) 세계신문협회(WAN-IFRA)에서 온라인 댓글 쓰기에 대한 최신 보고서를 냈다. 이번 보고서에는 3개월간 46개 나라에서 78개의 뉴스 조직을 조사한 결과가 담겨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82%의 사이트에서 댓글 쓰기를 허용하고 있었고, 53%의 업체는 댓글이 ‘토론’과 ‘더 나은 스토리를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고 생각했다. 댓글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다. 토론을 촉진하고, 기사가 제공하지 못했던 관점이나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악성 댓글, 선동과 날조 등의 부작용도 있다. 외국에서는 굳이 댓글난을 유지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떼어낸 곳도 상당하다. <CNN>, <더버지>, <로이터>등 유수의 언론사가 댓글난을 뉴스에서 뗐다. 지난 8월에는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국인 <NPR>도 댓글란을 제거했다. 세계신문협회는 댓글난이 유지할만한 가치가 있는지, 어떤 이익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