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등장, 다양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출현, 사물인터넷(IoT)이 퍼지면서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급속도로 데이터가 늘고 있다. 기업 인프라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B) 중요성은 커졌고, 계속 커지고 있다. 급증하는 데이터를 두고, 구글도 고민을 했다. 지금은 모두가 다 아는 기업이지만, 구글에게도 스타트업 시절이 있었다. 서비스 초창기에는 검색엔진에서 1등도 아니었고, 오히려 경쟁사에 밀렸다. 글로벌 서비스가 아니라 미국 한정 서비스로, 미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관리에 더 신경을 많이 썼다. 배치, 레이턴시에 민감하지 않은 인덱싱 프로세스였다. 문서 ‘스니펫’(단일검색) 서비스에 집중했다. 20여년이 흐르고 상황이 달라졌다. 지금은 10억명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제품이 구글 안에 8개나 존재한다. 구글 검색, 안드로이드, 구글 지도, 지메일, 플레이 스토어,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