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블루크랩(BlueCrab) 랜섬웨어 유포에 쓰인 주요 키워드를 조사해 발표했다. 전체 키워드의 절반 이상이 업무용 소프트웨어, 게임, 영상과 관련된 것이었던 만큼, 메일 첨부파일 열람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이 올해 1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V3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기간 중 업무 관련 소프트웨어를 랜섬웨어 유포 키워드로 활용한 비중은 전체의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로 이미지나 문서 프로그램 등의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형태다. 이어 게임 설치파일, 패치, 핵으로 위장한 형태가 22%, 영화나 드라마 파일로 둔갑한 경우가 11%였다. 세 카테고리를 합하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이는 공격자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근무나 온라인 수업용 소프트웨어, 여가활동과 연관된 키워드를 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