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시대가 열리고 있다. 극장이나 철도, 공항에서 표를 끊을 때, 햄버거를 주문할 때 사람 대신 기계와 마주하는 건 이미 익숙한 풍경이다. 업체 입장에서는 무인단말기(키오스크)를 통해 인건비 및 운영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줄을 길게 서지 않아도 돼 편리하다. 하지만 편리와 효율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제공되지 않는다. 장애인들은 오히려 늘어나는 무인단말기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다. 국내 무인단말기들이 비장애인 입장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탓이다. 무인단말기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지난 4월17일 정보접근성 간담회를 열고 서비스 제공자와 장애인단체 등과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책을 논의했다. 이날 참석한 이용석 장애인단체총연합회 정책실장은 "장애인 당사자로서 무인단말기 이용은 불편하고 제대로 활용할 수도 없다"라며 "지하철 전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