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오라클, "우리도 UC 강자"
BEA코리아와 한국오라클이 국내 통합커뮤니케이션(UC)과 협업 시장의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다. 이 시장은 한국IBM과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장을 이끌고 있는데 후발 사업자의 추격이 본격화하면서 한층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IBM은 통합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툴 자체를 보유한 대표적인 기업이다. 두 선발 업체는 각각 'SIP' 서버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커뮤니케이션 서버'와 '세임타임'을 보유하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기업전용 메신저 제품이지만 이 제품에서는 통신 인프라와 연계할수 있는 콜 컨트롤 기능부터 수많은 통신 기술들을 수용해 놨다.
미들웨어 전문 업체인 BEA와 기업용 응용프로그램 시장의 강자인 오라클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를 제공하면서 기업 고객사를 겨냥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IBM의 독주를 지켜만 보지 않겠다는 것.
BEA와 오라클은 최근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교체하려는 통신 사업자들을 겨냥해 '웹로직 SIP 서버'와 '핫십(hotsip)' 사업을 강화하고 나섰다. BEA코리아는 올 초 인터넷 전화 서비스 업체인 MSA커뮤니케이션의 아이엠텔/위즈 개발에 웹로직 SIP 서버를 공급했다. 오라클은 KTF에 핫십을 제공했다.
미들웨어 업체들은 전사적자원관리(ERP)나 고객관계관리(CRM), 그룹웨어 등을 사용하는 기업 고객은 물론 일반 포털이나 전자상거래 업체들에게도 통신 인프라를 적용해 쉽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국내 MSA커뮤니케이션은 BEA코리아의 웹로직 SIP 서버를 도입해 기업 고객들이나 포털을 겨냥한 서비스 제공에 나서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IBM 입장에서는 그룹웨어와 현업 고객들을 먼저 겨냥하고 있지만 자사의 익스체인지나 로터스노츠를 사용하지 않는 고객들도 관련 메신저용 서버를 도입하면 손쉽게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BEA의 웹로직 SIP 서버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MSA커뮤니케이션 전략사업부 박근봉 부장은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개인 고객들의 불편을 덜어주는 것이 기본 목표지만 관련 인프라를 통해 대기업과 포털, 전자상거래, 공공 기관과도 접촉을 늘려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박 부장은 "국내 포털이나 부동산 서비스 업체들이 관련 통신 인프라를 적용하면 해외 교포들도 비싼 국제전화를 이용하지 않고도 국내 통화요금이나 무료 통화로 고객 상담과 문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BEA시스템즈코리아 김형래 사장은 "국내에서도 웹로직 SIP 서버는 MSA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혁신적인 기술을 요구하는 통신업체들에 공급돼 새로운 서비스를 빠르고 손쉽고 개발,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두 회사의 국내 행보는 통신사업자를 겨냥하고 있지만 이들의 솔루션을 도입한 통신사가 기업 시장을 정조준하면서 자연스럽게 미들웨어 전문 업체로서의 통합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들은 기업 포털(EP) 솔루션에 SIP 서버를 연동하면서 기업 내 수많은 응용프로그램들과 통신 인프라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라클 미들웨어 담당 송규철 상무는 "기업 내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에 통신 기능을 연동하려는 고객들이 많다. '핫십'은 이런 고객들에게 유익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통신사는 물론 오라클이 보유한 기업 고객들에게 관련 기술 연동과 장점 등에 대한 설명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통합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은 그룹웨어와 통신 인프라의 결합을 1차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런 프로젝트가 안착하게 되면 수많은 업무용 응용프로그램과의 연동은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KT도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통신 인프라와 기업용 응용프로그램간의 연동 테스트에 들어갔다.
고객 입장에서도 통신사와 솔루션 업체 등 관련 시장에 많은 업체가 뛰어들면서 더 많은 기술 검토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