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e知園' 오픈소스화 어떨까.
2006-09-29 도안구
이에 노무현 대통령은 "모두 다 지속적으로 해주면 좋겠다"고 답하면서 "이지원 시스템도 그 중에 하나다. 법률적인 근거를 만들어 놓지 못해서 아쉽지만 제대로 활용해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잘 알려진 대로 IT 매니아다.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에도 인맥 관리 소프트웨어인 '뉴리더 2000'을 개발토록 지시한 적이 있다.
정치인으로 다방면의 여러 사람을 만나면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인맥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활용할지 고심했다. 정보화는 기술만으로 되지 않는다.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인력들이 자신들이 필요를 구현할 때 경쟁력 있는 정보화도 가능하다.
언젠가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의 한 사장은 사석에서 "인맥관리 소프트웨어 사업을 하던 10여년전, 정치인 노무현이 회사를 찾아온 적이 있었는데, 상당히 세밀한 기능들을 정리해 와, 소프트웨어에 추가해 줄 수 없느냐는 요구를 했었다"며 "지금 생각해보면 소프트웨어로 인맥을 관리하고자 하는 마인드가 굉장했다"고 술회했다.
헌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청와대는 5년 마다 새로운 주인을 맞이한다. 새로운 주인이 이전 정부와 뜻을 같이 한 사람이건 아니면 전혀 다른 정치세력이건 간에 시스템만 남고 사람은 바뀔 텐데, 과연 그들이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해 줄 까.
참여정부는 업무 혁신 시스템을 혁신하고 투명성을 일궈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이런 성과와 제대로 일을 하고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지만 말이다. (IT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해서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지원 시스템이 다음 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렇다면 관련 시스템을 오픈하는 방식은 어떨까? 무슨 시스템인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야 새롭게 청와대에 입성한 인력들이 제대로 활용할 수 있지 않겠는가? 공무원들은 이미 관련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또 다른 세력들이 이를 활용하지 않는다면 그건 혈세의 낭비일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IT프로젝트 실패 사례로 기록될 수도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도 남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공유와 개방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대표하는 정신이라고 본다면 이지원 시스템에 대한 활용을 걱정하기에 앞서 이 시스템의 실체가 어떤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개해 보는 것은 어떨까? 아마 솔루션을 개발한 업체만 반대하지 않는다면 모두들 대환영할 것 같다는 것이 기자의 생각이다.
'e知園(e지원)' 시스템은 무엇일까? e지원 시스템은 올해 초 대통령이 특허를 받았다고 해서 다시 한번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김상철 국정보호비서관시 행정관이 소개한 내용을 한번 살펴보자.
e지원은 행정업무 처리의 전 과정을 표준화하고 시스템화한 것으로, 흩어진 각종 파일, 보고서,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기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해 빠짐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노무현 대통령은 업무 효율성, 투명서 강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정부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 구체화된 것으로 문서관리 시스템과 과제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문서관리 시스템은 문서 관리카드를 통해 온라인 보고, 디지털회의, 지시사항 관리가 가능하도록 행정업무 처리 전 과정을 표준화하고 시스템화 했다. 과제 관리 시스템은 조직의 모든 업무를 단위과제로 정의하고, 과제 관리 카드를 통해 업무의 추진 과정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시스템화했다.
2003년 3월 청와대에 최초의 그룹웨어가 도입됐다. 또 디지털청와대 구축을 위한 ISP(Information System Planning) 수립하고 디지털청와대 1차 구축 사업으로 업무 일지 기록 방식 중심의 e지원이 오픈됐다. 이후 2차 구축사업으로 문서관리시스템이 도입됐고, 3차로 과제 관리 시스템이 구축 완료됐다.
2005년 말부터 e지원을 토대로 정부업무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모델을 만드는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올해말까지는 전 정부부처에 이를 적용해 통합적인 국정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김상철 행정관은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