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 JAPAN 2025] 1000개 글로벌 기업 참여…K-바이오, CDMO 수주 ‘정조준’
일본 요코하마에서 8~10일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바이오재팬 2025’가 포문을 열었다. 바이오재팬이 1986년 시작된 이래 최대 규모의 인원이 참석하며 행사장을 가득 채웠다. 전세계 1000개 이상의 기업 및 연구기관이 참가했으며 1만8000명 이상의 방문객을 운집했다. 파트너링 미팅은 2만 건 이상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롯데바이오 CDMO 신규 고객 확보
이날 행사장에서는 글로벌 CDMO 시장의 선두주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최초로 단독 부스를 마련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회사는 부스에서 항체·약물 접합체(ADC) 생산 역량과 5공장 등 세계 최대 생산능력 위탁개발(CDO) 플랫폼 등을 소개했다. 특히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톱 20 제약사 내 점유율을 지속 확대하면서 톱 40위권 제약사 대상 신규 고객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는 포부다.
특히 이날 제임스 최 영업지원담당 부사장과 케빈 샤프 세일즈 오퍼레이션 담당 부사장이 직접 연사로 나섰다. 이들은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위한 전략적 아웃소싱과 바이오의약품 모달리티를 위한 통합 개발·생산 서비스 등을 알리는 것에 방점을 뒀다. 이들은 불안정한 글로벌 공급망 속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적의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도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 확대한 단독 전시 부스를 차렸다. 특히 오는 10일 세미나에서는 박제임스 대표이사가 연사로 나서 'Pharma's Next Frontier: CDMO Strategies and the Growing Market for Next-Gen ADCs'를 주제로 회사의 시장 경쟁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조백래 롯데바이오로직스 팀장은 “화상과 메일로만 미팅을 진행하다가 일본에서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뜻 깊다”며 “지난해보다 훨씬 확대된 규모로 부스를 꾸렸고 남은 하반기 수주 성사에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상반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와 '월드 ADC 아시아', '바이오 USA' 등 다양한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에 꾸준히 참가해 왔다. 특히 지난 6월 '바이오 USA'에서는 글로벌 바이오 기업과 항체의약품 위탁생산 계약 수주 소식을 알리면서 국제 바이오 행사에서 글로벌 CDMO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K-스타트업@바이오관 주목
이 밖에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은 국내 유망 바이오벤처의 글로벌 기술이전과 공동연구, 파트너십 등을 지원하기 위해 행사에 참여했다. 국내 기업들이 보유한 신약 후보물질의 우수성을 알릴 계획이다.
글로벌 제약사와 투자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돕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중소기업벤처부는 국가독성과학연구소와 충북테크노파크, 경북테크노파크와 통합관인 'K-스타트업@바이오관'을 운영한다. 유스바이오글로벌과 입셀 등 바이오벤처 30곳이 올해 통합관에 참여했다. 김인숙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중소기업협력실장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일본 시장이 많은 주목을 받아서 우리나라 기업들을 많이 알려야겠다는 생각해 참여했다”며 “특히 일본의 다이와증권 등 대규모 기업에서 DCI 바이오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VC) 대표 등도 이곳에 참석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는 9일은 일본 지역 또는 아시아 소재 VC 등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셀트리온제약과 이엔셀, GC셀, 에이프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한미정밀화학 등도 파트너링 미팅 등을 위해 바이오재팬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체 참여 국내 기업은 136개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