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논란, M&A까지 '불똥' 왜

2025-10-15     이채연 기자
/이미지 제작=챗GPT

잇따르는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막으려는 움직임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대한 규제로까지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명함관리 플랫폼으로 잘 알려진 리멤버가 최근 해외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넘어간 것과 관련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다.

이에 정부가 M&A 과정에서 함께 옮겨가는 개인정보에 대한 규제를 마련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를지 주목된다.

15일 국회에 따르면 14일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스웨덴 PEF인 EQT파트너스의 리멤버 인수를 사례로 들며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에 팔리면 해당 국가나 계열사에서 개인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송경희 개인정보위원장은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과거에는 잘 보지 않았던 양도·양수 시 개인정보 이전 부분을 이제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전심사제나 역량평가 등 제도적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리멤버는 이른바 국민명함 플랫폼으로 불려온 애플리케이션이다. 명함·커리어 관리와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며 약 50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한 이 회사의 기반은 기업명·직책·이메일·전화번호 등 직장인 네트워크 데이터다.

EQT파트너스는 올 8월 5000억원에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를 인수했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아크앤파트너스의 지분과 사람인·라인플러스가 갖고 있던 소수 지분까지 연달아 취득하며 경영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리멤버가 보유한 방대한 명함 데이터와 직장인 정보가 해외로 이전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들 정보가 해외 PEF 운용사로 넘어갈 경우 통제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최근 화두로 떠오른 개인정보 관리 문제가 M&A 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이목을 끌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롯데카드 등 국내 대형기업의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보 관리·이전·활용 전반을 아우르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그러나 리멤버 측은 최대주주가 바뀌었지만 회원 정보가 이관되지 않았을뿐더러 국외에서는 접근조차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리멤버 관계자는 "리멤버의 회원정보는 모두 대한민국 내에만 저장돼 있으며, 대한민국에 위치한 자사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며 "주주가 해외 PEF로 변경된 데 따라 개인정보가 국외로 이전되거나 국외에서 접근되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주라 해도 업무 목적상 개인정보를 취급 및 처리할 법적 권한이 없으므로 리멤버 회원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직접적 활용은 불가능하다"며 "최대주주 변경은 경영권과 지분구조의 변동일 뿐 개인정보 양도가 아니며, 개인정보 처리와 보호에 관한 법률 준수 의무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