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EX 2025] LIG넥스원, 'KF-21 무장' 국산화 선포…육해공 무기 총출동
LIG넥스원이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KF-21 보라매 전투기 무기체계 국산화 의지를 공식화했다. 기체 개발은 성취를 거뒀지만 실전 전력의 핵심인 무장은 여전히 유럽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단거리 공대공 유도탄을 비롯해 공대지·공대함·모듈형 유도탄 등 다층 무장체계의 국산 개발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21일 <블로터>가 찾은 ADEX 2025 LIG넥스원 부스 중앙에는 KF-21 전투기가 비행하는 모습으로 천장을 장식했다. 그 아래에는 자체 개발중인 공중발사 전력 체계를 배치해 미래 전력 모습을 보여줬다.
KF-21 무장 국산화 로드맵
LIG넥스원에 따르면 KF-21은 '기체' 측면에서는 성취를 이뤄냈다. 다만 전투기의 실전 전력화 수준을 가늠하는 무장 체계는 개발되지 않아 유럽산 무기에 의존해야 한다. 현재 KF-21 시험통합이 완료된 무장은 △IRIS-T(단거리 공대공) △MBDA Meteor(장거리 공대공) 등 두 종류다.
이에 대응해 LIG넥스원은 △장거리공대공유도탄(LRAAM) △단거리공대공유도탄(SRAAM) △장거리공대지유도탄(KALCM) 등 핵심 유도무기 국산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정부 발주가 확정된 것은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KALCM) 1종이며 이른 시일 내 전력화될 예정이다. 단거리공대공유도탄(SRAAM)은 정부 발주가 임박했다. 장거리유도탄은 사전 기술개발 단계다. 향후 방사청이 사업화를 시작하면 즉각 대응 할 수 있도록 자체 자금을 투입해 연구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또한 자체 기획한 무기 콘셉트도 공개했다. △한국형 다목적 순항유도탄(L-MCM) △대함·대지 타격과 전자전(통신·재밍) 임무까지 수행 가능한 모듈형 유도탄(L-MSM) 등 2종이다. 또 KF-21에 탑재 가능한 공대함 유도탄(SASM) 개발 능력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KF-21의 기체 설계·제작이 국내에서 주도된 것은 분명한 성과지만 장착되는 타격무기들은 수입을 전제로 하고 있다"며 "전략적 자주성, 수출 패키지 완결성 측면에서는 분명한 약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거리·중거리·단거리·대함·순항 등 무기 카테고리를 모두 아우르는 국산화 포트폴리오를 구비해 전투체계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K-방공망 체계 수출 모델로 육성
LIG넥스원은 공격무장 국산화에 더해,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공동 개발한 대공 방어무기 체계를 통합해 수출 시장을 넓히는 ‘K-방공망 벨트’ 비전을 제시했다.
중동과 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 등 해외 국가 전역에 대한민국식 대공유도무기 라인업을 배치해 ‘K-방산 패키지’ 수출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LIG넥스원은 △L-SAM(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II(중거리) △해궁(함대공) △LAMD(장사정포 요격체계) △신궁(휴대용 지대공) 등을 한자리에 전시했다.
또 AESA 레이다를 활용해 드론을 탐지·추적하고 군집드론을 단시간에 무력화할 수 있는 CIWS-II, 고출력 레이저 발사장치 등 다양한 대드론 방어체계를 선보였다. 모든 고도·위협 단계에 대응하는 ‘다층 방공망 솔루션’을 제시한 셈이다.
LIG넥스원은 각 국가의 기존 방공체계에 자사 무기들을 연동해 통합 운용할 수 있는 맞춤형 KAMD(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모델을 수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정부의 자주국방 추진 의지를 구현하고 K-방공망 벨트로 방산수출의 모멘텀을 이어가겠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 축적과 국내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통해 방산강국으로 도약할 50년의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