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퍼스트'로 도약하는 크래프톤, 1000억 GPU클러스터도 구축

2025-10-23     강준혁 기자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펍지성수와 크래프톤 로고 /사진·이미지 제작=강준혁 기자

 

크래프톤이 인공지능(AI)을 경영의 중심에 두는 'AI퍼스트' 전략을 공식화했다. 전사 업무에 AI를 내재화해 AI 중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1000억원을 투자해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크래프톤은 23일 사내 소통 프로그램 '크래프톤 라이브토크'에서 'AI퍼스트 기업으로의 전환:일과 회사, 개인의 미래'를 주제로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을 공유했다.

이날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오늘을 기점으로 크래프톤은 에이전틱AI를 중심으로 업무를 자동화할 것"이라며 "구성원은 창의적 활동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AI 중심 경영 체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를 통해 구성원의 성장을 촉진하고 조직의 도전 영역을 넓히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AI퍼스트는 AI를 문제 해결의 중심이자 최우선 수단으로 삼아 개인과 조직의 변화를 촉진하고 생산성을 높여 중장기 기업가치 성장을 가속화하는 전략이다.

 

1000억 투자해 GPU 클러스터 구축

크래프톤은 1000억원을 투자해 GPU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다만 GPU클러스터가 들어설 구체적인 지역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GPU클러스터는 정교한 추론과 반복 계획이 필요한 다단계 과제를 지원하며 에이전틱AI 구현을 가속하는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크래프톤은 이를 통해 AI 업무 자동화뿐 아니라 AI 연구개발(R&D)과 인게임 AI 서비스 강화에도 나선다. 회사는 2026년 하반기까지 AI 플랫폼과 데이터 통합·자동화 기반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연동 업무와 에이전틱AI 관리 플랫폼, 데이터 표준화 체계를 포함한 전사 AI 운영 인프라를 확립할 방침이다.

또 2026년부터 매년 3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구성원이 다양한 AI 툴을 직접 활용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AI 서비스 지원 규모의 10배 이상으로 전사적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다.

AI퍼스트의 전사 내재화를 위해 인적자원(HR) 제도와 조직 운영 체계도 전면 개편한다. 관련 제도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기존 정책도 AI 중심으로 재정비한다. 실행 전략은 △AI퍼스트 문화 정착 △업무 방식·조직 혁신 △새로운 도전과 성장 기회 제공 등이다. 이는 올해부터 바로 시행된다.

 

학습·공유·실험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

크래프톤은 구성원이 AI퍼스트 문화를 직접 체감하고 주도할 수 있도록 학습·공유·실험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한다. 사내 플랫폼 'AI러닝허브'를 중심으로 AI 학습과 업무 도구 활용을 지원하고 실무 적용 사례와 노하우를 전사적으로 공유한다. 또 'AI라운드테이블'과 'AI해커톤'을 운영해 직군과 조직을 넘는 상호 학습과 실무 중심의 AI 활용 문화를 확산한다.

조직 구조와 협업 환경도 새롭게 정비한다. 조직관리범위를 확장해 구성원이 더 큰 단위의 목표와 성과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조직에는 전문성 강화에 맞춘 별도의 인력 운영 체계도 도입한다.

또한 구성원의 사내 이동과 역할 확장 기회를 확대한다. AI 도입으로 확보한 시간과 리소스를 신작 개발 및 혁신 프로젝트에 재투자해 AI 활용 역량과 창의적 도전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게임 제작 파이프라인 확장과 신규 타이틀 창출로 이어지는 지속 성장 체계를 실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