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 이어 SK도 '깐부' 합류…엔비디아와 손잡았다
인공지능(AI) 패권 다툼의 중심에 선 엔비디아의 한국 '깐부' 대열에 SK그룹이 가세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에 이어 SK가 제조 AI 클라우드를 공동구축하며 AI전환 경쟁을 본격화한 것이다. SK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기로 했다.
31일 SK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Physical AI Startup Alliance)'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기반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과 관련해 설계·운영·활용까지 일원화한 국내 사례는 SK가 유일하다. SK는 아시아 최초로 옴니버스 기반 제조 클라우드를 띄워 국내 제조 생태계 전반에 개방한다는 구상을 가졌다. 이를 제조업 관련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에도 개방해 대한민국 제조업 생태계가 AI 기반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옴니버스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디지털트윈 플랫폼이다. 실제 생산공정을 3차원(3D) 가상공간에 구현해 설비운영과 생산효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율 개선, 유지보수 효율성 향상, 비용절감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세계적으로 제조업은 AI를 이용해 불량을 조기에 발견하고 생산공정의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번 SK의 옴니버스 클라우드 개방은 국내 스타트업과 제조기업들이 AI 기반의 디지털트윈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평가된다.
제조 AI 클라우드는 SK하이닉스가 도입하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약 2000장을 토대로 구축된다. 이 인프라는 이천캠퍼스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가동되며 SK텔레콤(SKT)이 구축·운영·서비스 등 전 과정을 총괄한다.
SK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조 AI 클라우드를 독자 운영하는 사업자로 해외 데이터센터를 거치지 않고도 옴니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국내 제조업에 특화된 고성능·고보안형 AI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다.
엔비디아는 GPU 공급에 그치지 않고 SK와 국내 제조환경에 최적화된 AI모델을 공동개발한다. 양사는 옴니버스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최적화 △AI모델 학습 및 추론 △클라우드 운영 자동화 △시뮬레이션 튜닝 등 전 영역에서 기술협력에 나선다.
SK와 엔비디아는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도입 비용과 기술장벽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국내 제조기업들에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할 방침이다.
최 회장은 "SK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AI를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며 "엔비디아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SK는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트윈, 지능형 AI에이전트를 구동할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SK는 엔비디아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라며 "SK의 혁신과 한국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AI 팩토리를 함께 조성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기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회장과 황 CEO는 이날 오후5시께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단독 회동할 예정이다. 이번 만남은 APEC CEO 서밋 일정을 마친 직후 이뤄지는 것으로 전날 삼성동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함께한 'AI 깐부 회동'과는 별개의 일정이다.
당초 최 회장도 이 회동에 참석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 경주 현장을 지휘하는 일정상 참석이 불가능했다. 대신 별도의 만남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매개로 한 사업 협력 심화 방안과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