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중 갈등·인플레 우려에 반도체 관세 부과 미룰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부과를 미루겠다는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내비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로이터는 논의에 직접 참여했거나 관련 보고를 받은 네 명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이 최근 며칠간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신중한 접근을 취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말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전쟁을 1년 휴전하기로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세를 시행하면 반도체와 칩이 탑재된 기기를 대량 생산하는 중국과의 마찰이 다시 격화되고 희토류와 같은 핵심 광물 공급망이 흔들릴 수 있다.
로이터는 반도체 관세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 변화가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소비자 물가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입 반도체에 고율 관세가 적용되면 냉장고에서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각종 소비재 가격이 오를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200개 이상의 식료품 품목에 대한 관세를 철회하면서도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여파로 최신 소비자물가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인플레이션은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부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해 왔다.
다만 관계자들은 최종 결정이 백악관의 승인 전까지 언제든 바뀔 수 있고 여전히 세 자릿수의 관세 부과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트럼프는 반도체 관세 정책을 핵심 경제 공약으로 내세웠다. 지난 8월 트럼프는 미국에서 생산했거나 미국 내 생산을 약속한 기업을 제외한 반도체 수입품에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후 미 정부는 관계자들에게 관세 발표가 임박했다고 알렸지만 최근 시기와 세부 내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면서 입장이 바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대변인과 상무부 관계자는 이러한 관측을 부인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 및 경제 안보에 필수적인 제조업을 국내로 되돌려오기 위해 모든 실행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며 “익명 발언에 기반한 보도는 가짜 뉴스”라고 밝혔다. 상무부 관계자도 “반도체 232조 관세에 대한 부처의 정책 변화는 없다”고 주장했다. 두 기관 모두 관세 시행 시기나 추가 세부 사항은 제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