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준감위원장 "이재용 회장,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 여전"

2025-11-25     최지원 기자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장이 25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최지원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에 대해 기존 견해를 유지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다. 공식 결정 권한은 없지만 그동안 형성돼 온 논의 방향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장은 18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등기이사 복귀 논의에 대한 질문에 "위원회가 판단하거나 입장을 정리할 사안이 아니며 제가 공식 입장을 말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동안 밝힌 내용은 준감위 공식 의견이 아닌 제 개인 의견"이라며 "그 생각에 변화를 가져올 이유가 아직 없다"고 했다. 직접적인 표현은 피했지만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등기 복귀가 필요하다는 개인 의견을 유지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시사한 대목이다.

이 회장은 과거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2019년 10월 임기만료를 끝으로 등기임원에서 물러났다. 그 결과 현재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 총수 중 유일한 미등기임원이다. 등기임원은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법적 책임을 직접 부담하는 반면 미등기임원은 의사결정 영향력은 존재하지만 법적 책임은 제한된다.

그동안 이 회장은 사법 리스크를 이유로 등기 복귀를 미뤄왔지만 올 7월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며 명분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관련 삼성 관계자는 "이 회장이 등기이사는 아니지만 공정거래법상 동일인(총수)으로 지정돼 있어 이미 법적 책임을 지는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술 인재 중심 인사와 조직 쇄신이 진행되면서 삼성 내부에서는 책임경영 구조를 정비해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위원장은 "경영계획이나 인사 방향은 준감위 논의할 영역이 아니다"라면서도 "삼성은 기술 중심 기업이며 기술 인재 비중이 확대되는 흐름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삼성 내부 조직개편과 사업지원실 운영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구체적 운영 방식이 확인되지 않은 만큼 판단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거리를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