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산업에 불이 붙기 시작하고 있다. CJ E&M의 ‘다이아TV’와 트레져헌터, ‘아프리카TV'를 비롯해 ’판도라TV', ‘비디오빌리지’, ‘쉐어하우스’, ‘메이커스’, ‘샌드박스네트워크’ ‘SNS엔터테인먼트’ 등의 사업자가 있으며 올해 새로운 업체들이 출현할 가능성도 많아 시장에 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CN은 유튜브 생태계에서 탄생했다. 유튜브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수익을 내는 채널이 많이 생기자, 이들을 묶어 관리해주는 곳이 생긴 것이 출발이다. 여러 유튜브 채널이 제휴해 구성한 MCN은 일반적으로 제품, 프로그램 기획, 결제, 교차 프로모션, 파트너 관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수익 창출·판매 및 잠재고객 개발 등의 영역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보다 자세한 건 유튜브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hand-_YOUTUBE
▲ hand-_YOUTUBE

이런 흐름과 맞물려 국내 기존 방송 사업자들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LTE 보급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져 매끄러운 영상 시청 환경이 만들어졌으며 누구나 손안의 TV 스마트폰 한 대씩을 갖고 다닌다. 대도서관이나 양띵, 김이브 등 TV스타 부럽지 않은 인기를 누리는 유튜브 스타가 등장한 지도 오래다.

방송사도 노력 중이다. MBC는 1인 방송 대결 프로그램 콘셉트로 ‘마이리틀텔레비전’이라는 인터넷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KBS도 비슷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대신 유튜브에는 배타적인 태도를 취한다. 지상파와 CJ E&M 모두 현재 콘텐츠 공급을 중단한 상태다. “한 지상파 방송사는 MCN이 되고 싶어 한다“라는 소문도 나오지만 아직 국내 올드 미디어의 MCN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단언하기는 어렵다.

국내 MCN과 방송 산업의 미래를 점치는 것에 앞서 MCN 산업이 몇 년 더 일찍 유행했던 미국은 MCN과 기존 방송과 영화 산업이 어떻게 관계 맺어왔는지 알아보자.

초기엔 배타적이었다. 디즈니나 타임 워너 등 미국 올드 미디어 기업들은 처음에는 새로 출현한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에 대해 저작권료 소송을 거는 등 포용적이지 않은 태도를 취했다. 하지만 유튜브 채널과 크리에이터, 네트워크의 콘텐츠가 단순히 문화적인 현상을 넘어 산업적인 규모로 성장하자 이들의 태도는 바뀌기 시작했다.

지난 2013년부터 글로벌 미디어 자본들은 MCN 사업자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들은 유튜브 채널을 배척하는 대신 인기 유튜브 채널을 사들이기로 했다. 예를 들어 MBC의 ‘마이리틀텔레비전’처럼 인터넷 방송 형식을 빌려오는 수준을 넘어 ‘아프리카TV’에 지분을 투자해 아예 품어버리는 것이다.

디즈니와 드림웍스는 메이커스튜디오와 어썸니스TV를 지분 100%를 주고 인수해 내부자산화 시켰고 타임워너, 뉴스코퍼레이션, 비아콤, 컴캐스트, AT&T 등은 일부 지분을 투자하는 식으로 MCN에 자신들의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자신들의 기존 미디어 사업도 놓지 않으며 새 미디어도 품는 투 트랙 전략인 셈이다.

유튜브 대표 MCN 사업자들의 주목할 만한 인수나 펀딩 사례를 모아보았다. 어떤 MCN 사업자가 어떤 올드 미디어 그룹 ‘수혈’되었는지 알아보자.

메이커스튜디오

makerstudioslogo-1200xx1920-1080-0-0
▲ makerstudioslogo-1200xx1920-1080-0-0

메이커스튜디오는 2009년 설립됐다. 리사 도노반과 벤 도노반 남매가 2006년 시작한 유튜브 채널이 그 시작이다. 게임과 스포츠, 음악, 패션, 뷰티, 만화 등을 중심으로 비교적 다양한 연령대의 폭넓은 시청자 층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4년 디즈니는 약 1조원에 메이커스튜디오를 인수했다. 인수 당시 디즈니는 점점 짧은 단편 비디오를 온라인으로 시청하는 어린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어썸니스TV

Awesomenesstv
▲ Awesomenesstv

어썸니스TV는 2012년 배우 출신의 브라이언 로빈스가 설립한 MCN이다. 주로 10대와 20대를 겨냥한 코미디나 음악, 리얼리티 등의 콘텐츠가 많다.

드림웍스는 2013년 5월 어썸니스TV를 3300만 달러에 사들였다. 드림웍스는 헐리우드 애니메이션 제작사다.


 풀스크린

fullscreen-icon-logo_
▲ fullscreen-icon-logo_

풀스크린은 2011년부터 방송을 시작한 MCN이다. 주로 10대와 20대를 겨냥한 코미디나 게임, 음악 채널등이 특화돼 있다. 이밖에도 기존 미디어가 만든 콘텐츠도 공개한다.

미국의 이동통신사인 AT&T와 그 자회사 체르닉 그룹이 투자했다.


 머시니마

Machinima
▲ Machinima

머시니마는 2007년 설립됐다. 20·30대 남성 팬층을 주 시청자로 확보하고 있다. ‘머시니마’라는 이름이 기계와 영화, 애니메이션을 합친 단어인 만큼 게임 엔진이나 그래픽, 스토리,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해 만든 동영상이 주를 이룬다.

머시니마는 2014년 3월 미국 타임 워너의 자회사인 할리우드 영화사 워너 브라더스의 주도로 1800만달러 규모의 펀딩을 받았다.


무비클립

MOVIECLIP
▲ MOVIECLIP

무비클립은 2009년에 나온 영화 클립 영상 전문 채널이다. 20세기폭스사나 소니 픽처스, 유니버설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 등 메이저 영화사의 영화 클립을 모두 아카이빙해놓은 상태다.

무비클립과 연관 있는 미디어 그룹은 컴캐스트다. 미국 최대 케이블 방송 기업인 컴캐스트는 자회사 ‘판당고’를 통해 무비클립의 지분을 사들이고 있다.


 디파이미디어

DEFY
▲ DEFY

디파이미디어(Defy Media)는 2011년 설립됐다. 유튜브를 기반으로 시작했지만 유튜브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모바일 SNS에 동영상을 확장하는 게 특징이다. 또한 다른 MCN과 다르게 디파이미디어 자체 채널이 없고 각 브랜드별 독립 채널을 형태로 운영한다. 13~34세 연령층 대상의 뉴스, 게임, 패션, 라이프스타일, 엔터테인먼트 동영상 채널 제공한다.

디파이미디어는 2014년 6월 비아컴으로부터 투자금을 받고 지분 일부를 양도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규모는 양사 모두 밝히지 않았다. 비아컴은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MTV'등을 소유한 영화, TV 분야에 많은 회사를 가지고 있는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다.


그렇다면 글로벌 미디어 자본들은  할리우드에 쓸 돈을 왜 유튜브, 더 정확히는 유튜브들의 채널 묶음인 MCN에 쏟아붓고 있을까.

MCN 풀스크린의 최고경영자(CEO)이자 구글에 몸담으며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조지 스트롬폴로스는 <비즈니스인사이더>와 인터뷰에서 “TV가 도달할 수 없는 어린 시청자층에까지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의 말대로 실제 거대 미디어 자본에 의해 인수되거나 투자받은 유튜브 대표 MCN들은 대부분 10·20대 연령대의 시청자층을 가지고 있었다.

데이터도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다. 조지 스트롬폴로스는 “MCN은 시청자의 반응을 즉각 알 수 있는 실시간 데이터를 얻기 용이하다”라고 설명했다. MCN 사업자 한 곳에는 크리에이터가 최소 수십명은 소속돼 있다. 그러다보니 크리에이터 팬들의 동영상 시청 소비 습관이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남긴 활동 내역 등 방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MCN 사업자가 소유한 수많은 채널과 동영상 수는 곧 다양한 장르와 소재 스토리,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전통 미디어 자본은 이를 잘 모아두었다 적절한 타이밍에 써먹기도 쉽다. 마치 CJ E&M이 중국에서 어떤 영화가 터질지 모르니 판권을 다 가지고 있는 것과도 비슷하다.

조지 스트롬폴로스 풀스크린 CEO는 “유튜브로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근본적인 이유도 짚었다. 실제로  최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들이 기존 TV 시청자들을 흡수하며 올드 미디어들의 광고 수익은 떨어지고 있지만, 유튜브의 광고 매출은 연간 2배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는 "지금 유튜브 채널을 보는 세대를 추후 시청자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라고도 설명했다.

▲  △ 미국 MCN - 미디어 자본 관계도
▲ △ 미국 MCN - 미디어 자본 관계도

 ☞ 유튜브 주요 MCN 사업자 인수&투자 현황 표 보기(구글 드라이브)


참고자료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