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KT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본사업 통신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5월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KT가 진행하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A·B사업(서울, 대전, 대구, 광주, 경기, 충남, 강원, 전라, 경북, 제주)에 700MHz 기지국과 가상화 코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등을 단독으로 공급한다.

▲  | KT 공공안전통신망 기술검증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재난망 통신을 테스트하는 모습 (사진=KT)
▲ | KT 공공안전통신망 기술검증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재난망 통신을 테스트하는 모습 (사진=KT)

삼성전자가 공급하는 재난망 통신장비는 3GPP 국제 표준 기술인 ▲기지국 공유기술(RAN Sharing) ▲공공망용 사물인터넷(NB-IoT) ▲차량형 이동기지국(IOPS) ▲단말간 직접통신(D2D Communication) ▲다중동시영상전송(eMBMS) 등 LTE 공공망 분야에서 처음 적용되는 신기술을 대거 탑재했다.

삼성전자는 이와 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재난망 커버리지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 데이터 폭증, 집중국사 유실 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통신망 생존성을 확보해 유사시에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현장 구조인력이 활용하는 음성·화상 통화를 최우선으로 처리하는 '개별·그룹별 비상통화(Mission Critical Push-To-Talk)' 기술이 적용돼 어떠한 상황에서도 현장 구조대원 간 끊김 없는 통신을 보장하고 고화질 영상 통화도 가능하며, 이미 구축된 통신사업자의 상용망을 이용해 재난망 서비스가 가능한 '기지국 공유 기술'을 이용해 음영 지역을 최소화한다.

또 사물인터넷 단말을 저전력·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공공망용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해 화재감시·시설물 관리 등 사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예방할 수 있다. 또한, 1대 다수로 의사소통을 하는 재난안전통신(Push-To-Talk) 특성에 최적화된 다중동시영상전송 기술이 적용돼 사고 현장에 구조인력이 집중적으로 투입된 경우에도 2500개 이상의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재난망은 경찰·소방·국방·지방자치단체 등 재난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통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처음 재난망 도입이 추진됐다. 당시 각 기관이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을 사용해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일었다. 경제성과 통신방식 논란으로 지지부진했던 재난망 사업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재난용 LTE(PS-LTE)를 기술표준으로 결정했으며 2020년까지 3년에 걸쳐 구축되고 운영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7년에 걸쳐 이뤄진다.

KT는 지난해 10월 재난망 본사업의 A·B사업구역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SK텔레콤은 C사업구역(부산, 인천, 울산, 충북, 경남)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공급계약은 삼성전자가 KT가 진행하는 재난망 본사업 A·B 구역에 삼성전자 통신장비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내용이다. 삼성전자는 재난망 기지국(Radio Unit) 물량의 75% 이상을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협력해 공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서기용 전무는 "한국의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첨단의 이동통신기술이 모두 적용된 세계 최고 수준의 LTE 공공망이 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재난안전통신망 표준 제정부터 전체 솔루션 공급, 국내 중소·중견업체와의 상생까지 적극적인 투자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기술과 산업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KT 기업사업부문장 박윤영 부사장은 "삼성의 혁신적인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트래픽이 고도로 집중되거나 음영지역인 곳에서도 효과적인 구조활동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다양한 세계최초 기술이 적용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수많은 사람을 구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