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금융에 연체율이 올라간다고 하는데, 사실 일부 ‘아웃라이어(평균치에 동떨어진 업체)’를 빼면 오히려 업계의 대체적인 연체 비율은 낮아졌습니다. 그럼에도 세간에서 P2P금융을 자꾸 위험하게만 보고 있어 업계 전체가 위축되는 분위기입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 시행을 2개월여 앞둔 P2P금융업계에 최근 볼멘소리가 나온다. 제도권 금융에 자리 잡는 데 최선을 다하는 상황에서 갑자기 연체·부실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에선 일부 업체에서 생긴 문제로 P2P금융업 자체가 위험한 것처럼 치부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다.

실제로 업계가 공시하는 자료에 연체율(대출 잔액 대비 연체액 비율)이 오름세인 건 사실이다. ‘한국P2P금융협회’의 공시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44개 회원사의 평균 연체율은 8.93%이다. 2017~2018년 2~3% 수준이었던데 연체율은 지난해 8~9%대까지 오른 상태다.

협회가 아닌 사업자들이 자체적으로 취합해 공시하는 연체율 수치는 이보다 더 높다. 24일 현재 ‘미드레이트’에서 공시한 146개 회사의 연체율 평균치는 16.6%로 협회 평균치보다 2배가량 높았다. ‘데일리펀딩’이 운영하는 ‘데일리연구소’ 공시 상 평균 연체율도 16.8%로 비슷했다.

'연체율'로 회사 건전성을 설명할 순 없다

16%에 달하는 연체율이 물론 P2P업계에 긍정적 소식은 아니다. 다만 이 숫자 자체가 업계 전반에 건전성이 훼손됐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2P금융 사업자 가운데 연체를 기록 중인 회사는 77곳이며 총 연체액은 5241억원이다. 이 가운데 최근 사기 문제가 부각된 팝펀딩(1234억원)과 루프펀딩(625억원), 누적 대출액 자체가 커 연체액도 덩달아 늘어난 테라펀딩(627억원) 등을 제외하면 연체율은 절반으로 떨어진다.

8%대 연체율은 10% 안팎의 업계 수익률을 감안할 때 무작정 높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연체 채권도 추후 추심이나 채권 매각 절차 등을 통해 투자자 상환이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체율=손실’로 보는 것도 무리가 있다.

P2P금융협회설립추진단 관계자는 “P2P사업자들이 온투법 도입을 앞두고 최근 건전성을 강화하는 추세”라며 “일부 업체들의 부실 문제로 전체적으로 연체율이 높아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회사별로 보면 연체율 지표는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숫자로 된 연체율이 주는 왜곡 효과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연체율이 19.4%인 테라펀딩의 경우 연체 중인 채권을 매각하기보단 추심하는 쪽을 택했다. 정상 채권이 상환돼 대출 잔액이 줄어들게 되면 자연스럽게 잔액 대비 연체 채권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혹은 대출을 더 늘려 연체율을 희석하는 방법도 있다.

연체율이 높아지더라도 채권을 매각하기보다 추심을 한 데 대해 테라펀딩 측은 “고객에게 연체된 돈을 조금이라도 더 돌려드리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부실이 발생한 건축자금채권의 경우 매각할 때 할인율이 커 차라리 회수 과정을 거치는 게 장기적으로 낫다는 것이다.

단기적으로 연체율이 높아지더라도 채권 회수에 나선다는 테라펀딩 측 해명은 충분히 납득간다. 실제로 일부 중소 업체들이 연체율 상승을 막기 위해 눈속임 식으로 연체된 채권을 바로바로 팔아버린다는 건 업계에 공공연한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다고 꼭 나쁜 P2P업체가 아니고, 반대로 연체율이 낮다고 무작정 건전한 업체로 단정짓기도 어렵다”라며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는 업체에 투자하면서, 업체별로 분산투자를 하는 게 투자금 보호에 바람직하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