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 대응책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한국판 뉴딜에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 양 축을 이루고 있는데,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 이후 변화하게 될 미래 사회에 대한 디지털 대전환을 이끄는 정책이다.

디지털 뉴딜에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분야별 디지털 전환을 이끈다는 계획이 보인다. 그 중에서도 이번 발표의 핵심은 '데이터 댐'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전환은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등 기술로 산업 혁신을 견인하는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중 데이터는 모든 디지털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이자, 미래 사회에는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지는 자산이다.

데이터의 범주는 매우 넓다.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전부 데이터화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모든 유무형 자산이나 문화유산, 국가의 행정정보 등 정형적인 것을 데이터화 할 수 있다. 개인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개인정보, 인터넷 소비 행위, 네비게이션 이동경로 등 모든 것이 비즈니스적 가치를 갖는 데이터가 된다.

데이터 댐은 이러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댐'에 가둬두고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로'에 해당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이왕이면 속도가 아주 빠른 5G네트워크가 활용돼야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데이터가 소비되는 끝단에서 최적의 활용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융합시키면 된다.

정부가 14일 발표한 데이터 댐 사업 설명자료를 살펴보자.

과거 미국 대공황 시 ‘후버댐’ 건설이 뉴딜의 대표사업으로 일자리 창출과 경기부양 효과뿐 아니라 댐에서 만들어진 전력생산과 관광산업, 도시 개발까지 다양한 연관 산업과 부가가치를 만들었다.

데이터 댐 사업의 개념은 미국 대공황 시 후버댐이 부가가치를 만든 것과 유사하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수집‧가공하는 사업 등을 통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함은 물론 이를 활용하여 의료, 교육, 제조 등 연관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와 산업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5G 이동통신을 이용하면 데이터 수집과 활용 시 부가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인공지능이 똑똑해 져서 우리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데이터 댐 개념도
▲ 데이터 댐 개념도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될까?

데이터 댐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공공 데이터의 개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밀도로지도 △ 안전-취약 시설물 관리 정보 등 공공기관이나 정부가 갖고 있는, 기존에 개방되지 않았던, 공공데이터를 민간의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을 위해 연계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수집과 활용, 그리고 심지어 데이터 거래까지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도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개인정보의 데이터화와 이를 수집-활용-거래하는 것에는 엄격한 규제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경제 전환 가속화'를 위한 정책 변화로 데이터 거래와 유통 활성화가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댐 구축은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스토어, 공공데이터 포털 등 관련 산업의 부흥을 기대하게 만든다. 데이터를 매매하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 산업 창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개인의 취향을 저격하는 맞춤형 숙박, 의료, 교육, 외식,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 주변에 공기처럼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들은 5G 이동통신망이 필수다.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비롯해 자율주행차와 비행기-선박 같은 이동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융합을 빼놓을 수 없다.

TV 광고에도 등장했던 것처럼, 자율주행차를 타고 퇴근했을때 내 건강상태 데이터에 따라 잠을 깨우지 않고 부모님의 생일이면 부모님집으로 경로 안내를 하는 등의 서비스가 현실이 된다.

이외에도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 댐 사업의 활용처는 많다. △신종감염병 예후·예측 △의료영상 판독 및 진료 △국민 안전망 확보 △해안경비 △불법복제품 판독 △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 등 사회 전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  사진=pixnio
▲ 사진=pixnio

개인적으로 데이터 댐이 반가운 이유는 따로 있다. 누구나 가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윤택한 생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농민들이 가뭄에 대비해 댐을 구축하고 물을 끌어 농사를 짓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

단 데이터 댐 사업 성공의 전제조건은 민간 기업의 주도다. 민관 협력이 있어야 하지만, 수완 좋은 물장수(기업)가 끼었을 때 빛을 발할 수 있는 구조의 사업이다. 원하는 때 물이 잘 흐르는 댐이 필요하다. '데이터는 공공의 재산이고 이를 규제하겠다'는 식의 정부 주도 사업은 늘 세련되지 못해왔다.

키워드
#데이터 댐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