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터>가 매일 벌어지는 IT업계 이슈들을 정리해 알려드립니다. ‘IT기사 읽어주는 여자’가 99초 만에 훑어주는 ‘99뉴스’, 플레이버튼을 눌러주세요!

청와대 화상회의는 웹엑스를 쓴다

청와대의 화상회의 툴은 무엇일까. 여러 기업을 제치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시스코의 화상회의 솔루션 ‘웹엑스(Webex)’가 채택돼 주목받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18일 진행한 신년 기자회견에서 웹엑스 기반 비대면 간담회를 병행했다. 국회도 2020년 9월부터 비대면 회의 도구로 웹엑스를 쓰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촉발한 비대면 트랜드에서 그동안 '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등 여러 비대면 화상회의 도구들이 새롭게 이름을 알려왔다. 정부가 웹엑스를 선택한 건 다소 이례적이다.

▲  시스코 웹엑스 사용 화면 (자료=시스코 유튜브 갈무리)
▲ 시스코 웹엑스 사용 화면 (자료=시스코 유튜브 갈무리)

이에 대해 국회 관계자는 <블로터>와의 통화에서 “국회는 법안이나 정부 정책 등을 다루는 곳으로 화상회의 도구를 고를 때 보안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면서 “일정 규모 이상의 회의에선 보안성이 높은 웹엑스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웹엑스는 1995년 설립된 1세대 화상회의 서비스 회사다. 2007년 시스코가 인수했고 2020년 코로나19 대확산을 통해 새롭게 재발견됐다. 월 사용자 수는 3억 명 이상이며, 특히 강력한 보안이 여타 화상화의 솔루션에 강점으로 지목된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친화적인 웹엑스의 특성은 기업·정부 고객 확보로 이어져 현재 포춘 500대 기업 중 95%가 웹엑스를 사용 중이다. 국내에서 2020년 10월 신한은행이 웹엑스 도입을 발표했고 같은 해 미국 의외도 청문회 화상회의 도구로 웹엑스를 선택했다.

코로나19, 이젠 스마트워치로 미리 찾아낸다?!

스마트워치를 착용할 경우 코로나19를 조기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물론 스마트워치가 직접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건 아니다. 심장 박동의 변화 감지를 통한 체크다. 다만 감지율이 꽤 높다는 게 주목되는 포인트다.

미국 <CBS>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연구팀은 스마트워치가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심장 박동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내용의 ‘워리어 워치(Warrior Watch)’라는 연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지난 4월29일부터 9월29일까지 297명의 의료계 종사자들을 추적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 중 81%는 증상이 시작되기 9일 전부터 심장 박동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로버트 히어텐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부교수.(사진=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 로버트 히어텐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부교수.(사진=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연구를 총괄한 로버트 히어텐(Robert Hirten) 부교수는 “스마트 워치로 심박수 변화(HRV)를 관찰해 보니 비강 면봉으로 코로나19를 확진하는 것보다 감염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는 데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7일 전부터 심박수에 변화가 있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어려움 중 하나는 무증상자들로 알려졌다. 증상이 없기 때문에 격리가 어렵고, 이는 코로나19 확산을 어렵게 만든다. 스마트워치를 통한 사전 감지는 이 같은 문제도 해소할 수 있어 보인다.

IT회사들의 코로나19 감지 노력도 눈에 띈다. 뉴타이거스(NeuTigers)는 인공지능 회사는 웨어러블 기기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기기를 ‘코비드 딥’을 개발했다. 동전 크기의 ‘바이오 버튼’을 활용해 체온과 심박수, 혈압을 확인하고 감염 여부를 판별하며, 이를 코비드 딥에 전달하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정확도는 9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과 애플 등 스마트 기기 개발 회사들도 코로나19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기업의 환경 행보를 주목해야 할 이유

SK건설은 지난 13일 디에코플랫폼을 통해 경주 지역 폐기물업체 와이에스텍의 잔여 지분 30%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단순한 회사 인수처럼 보이지만, 이번 인수는 ‘리사이클링 회사’로 변신해가는 SK건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와이에스텍은 2019년 기준 자산총액 713억원 규모의 폐기물 처리회사다. 주로 경주산업단지 내 폐기물을 매립하고 있다. SK건설의 투자회사인 디에코플랫폼이 와이에스텍의 실질적인 최대주주였는데, SK건설이 잔여지분을 인수했다.

▲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그룹)
▲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그룹)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전국에서 하루 동안 발생한 폐기물은 44만6102톤에 달하며, 이 가운데 46.3%(19만톤)가 건설 폐기물로 집계됐다. 폐기물량은 매년 2~3%씩 늘어나고 있고, 이에 폐기물 처리 업체 수요는 늘고 있다. 폐기물이라는 부정적인 어감을 제외하면 영업이익률은 20%나 된다. SK건설의 회사 인수 또한 수익성과 리사이클링 비즈니스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기업에서 발생한 환경오염 사건은 매년 발생하고 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이 대표적이며, 2010년과 2013년 삼성전자 화성공장 불산 유출, 2019년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사고가 있었다. 최근엔 LG디스플레이 파주공장에서 화학물질이 유출돼 피해자들이 발생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19년 12월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강연에서 “폐기물 처리로 사회에 공헌하는 건 비용이 아닌 투자”라 강조했다. 그룹 오너가 리사이클링 산업을 강조한 만큼회사가 이를 통해 실제 ESG에 기여하는지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