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네이버
▲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토위원회를 꾸려 ‘뉴스 알고리즘’을 검증 받는다.

17일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네이버는 뉴스 알고리즘인 에어스(AiRS)의 배열 원리와 방식, 영향 등을 전문가들에게 공개 검증받을 예정이다. 위원회 출범 시기나 활동 기간, 위원 수 등 세부사항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내부적으로 준비해온 사안으로,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알고리즘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필요하다면 검토위원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모바일 뉴스 배열을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맡기고 있다. ‘협력필터(CF·Collaborative Filtering)’ 기술과 인공신경망 기반의 ‘품질모델(QM·Quality Model)’을 활용,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행태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심사를 예측해 맥락에 따라 뉴스를 추천해주는 식이다. 2018년 ‘전(前) 민주당원 포털 뉴스 댓글조작 사건(일명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이 네이버가 손편집을 없애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지난해 9월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의 이른바 ‘카카오 들어와’ 사건을 계기로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이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조작한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이에 국민의힘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 소재 네이버 본사를 찾아 항의하는 한편 ‘검색 알고리즘’ 공개를 요구했고, 네이버는 뉴스 알고리즘 외부 검증을 약속했다.

이달 7일 MBC 탐사기획 프로그램 <스트레이트>가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 성향과 무관하게 보수·중도 매체 중심의 기사만 추천한다고 보도하면서 논란은 재점화됐다. 네이버는 “알고리즘은 매체 성향을 분류하지 않는다. 이용자의 소비 패턴에 대한 학습으로 동작하는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박이 이어졌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2018년에도 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발족한 바 있다. ▲컴퓨터 공학 ▲정보학 ▲커뮤니케이션 총 3개 분야의 전문가 11인이 참여해 6개월 동안 알고리즘에 인위적인 개입이 없는지 등을 따져봤다. “총체적으로 보면 공공성·투명성에서 부정적으로 볼 것은 없었다”는 게 이들이 종합한 결론이었다. 다만, 당시 검토위가 알고리즘이 담긴 소스코드(source code)를 직접 보지 못하고 네이버가 제공한 기술 문서에 의존해 결론을 내렸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 바 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