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와 ATSC 3.0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구조도. (자료=SK텔레콤)
▲ 5G와 ATSC 3.0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구조도. (자료=SK텔레콤)

SK텔레콤이 HD 영상을 최대 4K(UHD) 영상까지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방송 기술을 연내 국내와 미국 시장에 선보인다. 

SKT는 2일 제주도에서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등 주요 인사들이 참가한 가운데 차세대 5G-ATSC3.0 융합 방송서비스를 실증·시연했다. ATSC 3.0은 미국 디지털TV 방송 표준화 단체인 ATSC가 제정한 UHD 방송 표준이다. 영상과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까지 주파수에 실어 나를 수 있어 빠른 속도로 고화질 영상 전송이 가능하다.  

SKT는 지난 2019년 6월 제주에서 미국 최대 지상파 방송사 싱클레어 방송그룹과 함께 세계 최초로 달리는 차량 안에서 5G-ATSC3.0 방송서비스를 구현했다. 이후 제주테크노파크를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삼아 5G와 AI를 접목한 최신 방송서비스를 개발했다.

SKT와 싱클레어의 미디어 테크 합작회사 '캐스트닷에라'는 'AI 업스케일러'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HD 화질로 전송된 방송 영상을 제주도 행사장에서 실시간으로 풀HD(HD 화질의 2배)로 변환해 ATSC3.0 TV로 수신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AI 업스케일러는 AI 학습 엔진의 빠른 연산처리를 통해 방송 영상의 해상도(HD→풀HD), 프레임 주파수(초당30프레임→초당240프레임), 색 영역(SDR→HDR), 포맷(ATSC1.0→ATSC3.0)을 업그레이드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방송 영상을 만들어낸다. 캐스트닷에라는 연내 미국 싱클레어 방송국에서 이 기술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국내 최초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사피온'을 적용해 관련 인프라를 고도화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 양사는 클라우드와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반 'ATSC3.0 방송용 가상화 플랫폼'을 통해 중앙에서 전국 각지 방송국의 송출 시스템을 운용하고 원격 제어하는 기술도 공개했다. 기존에는 한 방송사 내에서도 각 지역 방송국마다 별도로 값비싼 전용 송출 장비를 구축해 담당 인력이 물리적으로 제어해야 했다. 하지만 이 기술이 도입되면 더 저렴한 범용 장비와 소프트웨어 시스템만으로도 효율적인 중앙 통제와 운용이 가능해진다.  

캐스트닷에라는 스마트폰에서도 TV처럼 끊김없이 방송을 볼 수 있는 초저지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술도 선보였다. 현재는 스마트폰 앱에서 라이브 방송을 볼 때 TV보다 9초 이상 늦게 전송된 영상을 보고 있는데 이 지연 시간을 0초로 줄이는 기술이다. 이밖에 TV 프로그램의 중간 광고 시간에 OTT 사용자별로 모두 다른 개인 맞춤형 광고를 삽입하는 솔루션과 방송 주파수에 GPS(위성항법장치) 측위 보정 데이터를 실어 비행 중인 드론에 전송해주는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도 시연했다.  
SKT는 이번에 공개한 최신 미디어 플랫폼 기술을 한국과 미국 방송국에 연내 공급 및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시장에는 우선 싱클레어 주요 방송국에 ATSC3.0 기반 솔루션을 적용할 예정이다. UHD 방송 활성화를 추진 중인 국내 방송사들도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윤 SKT 최고기술책임자(CTO)는 "5G, AI, 클라우드 기술이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며 "SK텔레콤의 기술과 싱클레어의 서비스 경쟁력이 결집된 캐스트닷에라가 전세계 미디어 테크 솔루션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