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노조.(사진=금속노조)
▲ 현대자동차 노조.(사진=금속노조)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 '그린 인프라(전기차와 수소 에너지 등)' 투자에 반발하고 있는 민주노총 현대차 노조가 올해 임단협에서 기본급 9만9000원(호봉 승급분 제외) 인상을 요구한다. 당기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라고 요구할 계획이다. 노조는 지난해 임단협에서 11년 만에 기본급 인상을 동결하기로 한 만큼 올해 임금 인상에 고삐를 조인다.

최근 노조는 대의원대회를 열고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했다. 노조는 지난해 기본급 12만원 인상을 요구했는데 올해는 인상안을 지난해보다 2만1000원 낮춰 잡았다. 이는 현대차 노조가 가입한 산별 노조인 금속노조의 '임단투 지침'에 따른 것이다.

금속노조는 올해 가맹 노조의 임단협에서 9만9000원 인상을 요구하라고 지침을 내렸다. 금속노조가 지난해 진행한 임금 실태조사에 따르면 금속노조 조합원은 월평균 362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조 조합원들은 올해 월 평균 15만원 인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15만원 인상분을 기본급으로 환산하면 9만9000원이다.

이상수 현대차 노조 위원장은 "어려운 조건 속에 단체교섭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올해는 요구안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노조의 힘을 집중해 올해 요구안을 관철하겠다"고 밝혔다.

노사의 올해 임단협은 난항이 예상된다. 노조는 지난해 기본급 인상을 동결한 만큼 노조 내부에 임금 인상에 대한 기대치가 높다. 이상수 위원장은 실리형 노조 위원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노사는 지난해 '시니어 촉탁직'을 확대했고, 시니어 근로자가 기존 근무지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봤다. 시니어 촉탁직은 60세 정년을 맞은 근로자가 1년 더 계약직으로 일하는 제도다.

노사는 기본급을 동결한 해 시니어 촉탁직 제도를 손보면서, '담합'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노조는 올해 하반기 집행부 선거를 앞두고 있어 임단협에 대한 부담이 크다. 노조는 현대차가 생산라인을 전기차 위주로 전환하면서 조합원의 고용을 유지해야 하는 부담도 떠안고 있다. 전기차는 생산 과정에서 부품이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해 약 30% 덜 들어가 유휴인력 문제가 불거질 수밖에 없다.

현대차도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차량 부문에 약 6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매년 12조원의 자본적 지출(CAPEX)이 예상되고 있어 임금인상 여력이 없다.

현대차의 정비·생산직 수는 약 3만6000명이다.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안(9만9000원)을 수용할 경우 약 36억원의 인건비가 추가로 들어간다. 호봉승급분(2만8000원)까지 합할 경우 약 50억원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노사는 통상 임단협을 마칠 경우 약 100만원의 위로금을 지급한다. 위로금으로 약 400억원이 들어간다. 성과급과 전통시장 상품권까지 합할 경우 인건비 부담은 더욱 커진다.

미래차에 투자가 집중되는 시기 인건비 부담은 더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현대차는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에 따른 고용유지(인력 재배치 포함) 방안을 노조와 논의해야 한다. 올해 MZ세대를 주축으로 한 연구직·사무직 노조가 출범했다. 교섭 대상이 늘어남에 따라 회사의 부담이 더 커졌다는 평이다.

▲ 현대차 실적 추이.(자료=금융감독원)
▲ 현대차 실적 추이.(자료=금융감독원)

현대차는 지난해 매출 50조6610억원, 영업이익 7686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5269억원이다. 2019년 순이익은 2조8322억원에 달했는데, 1년 새 순이익이 81.3%(2조3053억원) 줄었다. 자동차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현대차의 살림살이가 빠듯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로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면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미래차로 전환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만큼 올해 임단협은 노사 모두에게 쉽지 않은 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