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폰13(좌), 아이폰13 프로 (사진=애플)
▲ 아이폰13(좌), 아이폰13 프로 (사진=애플)

휴대폰 유통 중소상공인이 애플의 아이폰 유통 정책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6일 성명서를 내고 "애플은 대형 유통사 대상의 자급제 중심 예약판매를 중단하고, 중소 유통망 중심의 통신사향 모델 중심으로 실공급을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현재 애플의 아이폰13 시리즈 사전예약판매가 진행 중인 가운데, KMDA는 애플이 부족한 초기 공급 물량에도 온오프라인 대기업 유통사(하이마트, 쿠팡, 11번가 등) 자급제 모델 공급량만 확대하는 건 불공정 경쟁을 유도한다는 입장이다. 업계에 따르면 아이폰13 시리즈는 정식 판매를 앞두고 반도체 품귀 현상, 높은 초기 수요 등이 맞물려 공급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애플이 대형 유통사 자급제 유통망에 추가 물량까지 몰아줄 경우 일선의 스마트폰 판매점들은 아이폰13의 높은 초기 수요에도 불구하고 제품을 적기에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자급제폰 유통사들은 제조사인 애플로부터 판매 물량을 직접 넘겨받지만 이통사향 제품을 판매하는 소상공인들은 애플-이동통신사-직영점-대리점-판매점 순의 공급 절차를 거치므로 이통사 공급 물량이 줄어들수록 판매 물량 분배에 있어 불리하다.

또 판매점 사전예약자에 제품 인도일을 명확히 고지할 수 없어 고객 불만이 가중된다. KMDA 관계자는 "아이폰은 할인 정책이 별로 없는 편이라 제품 수급이 특히 더 중요한데 물건은 제때 못 팔고 이용자 불만까지 직접 감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대리점 매장에는 '애플존' 무상설치를 강제하는 정책이 여전하다고 주장했다. 애플존은 매장에 애플 제품을 중심적으로 진열해두는 공간이다. KMDA에 따르면 애플은 1~3평 수준의 애플존 운영을 의무화하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수익이 줄고 임대료 부담이 높아진 상황에서 소상공인 매장에 대한 지원 없이 애플존 무상 운영을 요구하는 건 무임승차나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다만, 이 문제에 대한 이통사의 설명은 다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확인 결과 애플존은 대리점의 신청을 받아 설치되며 강제성은 없다"고 해명했다.

KMDA의 이번 문제 제기는 해묵은 사안이다. 이미 수년 전부터 비슷한 문제를 제기해왔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는 탓이다. KMDA 관계자는 "애플이 재발 방지를 약속했음에도 개선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며 "성명을 낸 이유도 이제는 애플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정황상 일차적인 문제 해결키는 국내 아이폰 물량을 공급하는 애플이 쥐고 있다. 공급 물량이 충분하지 않다면 기존 이통사와 자급제 유통망 사이 적절한 물량 분배가 필요하다. 그러나 애플 입장에서도 최근 높아진 자급제폰 인기와 대형 유통망이 제공하는 폭넓은 구매 혜택을 고려하면 고객 수요가 더 높은 쪽에 물량 배분 우선순위를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휴대폰 판매업은 중소기업 적합업종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블로터>는 애플에 이 문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물었으나 애플은 답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