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빅테크 기업이 주력사업인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결제·송금, 은행을 넘어서 보험업으로 진출하는 등 금융권 침투율이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앱 하나만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지리적인 영향을 받지 않아 접근성이 높고, 신기술이 제공하는 편의성으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시장 독과점과 불공정경쟁을 심화시키고, 나아가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소비자보호 문제가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인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빅테크의 보험업진출 배경과 영향' 자료를 통해 "빅테크의 보험업 진출은 많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낳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빅테크가 MZ세대 등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고 시장 내 혁신을 유도하는 동시에 '디지털'에 국한돼 있어 일부 계층에서 금융소외 현상이 심화될 수 있고, 기존 금융사들과 동등하게 규제를 적용받지 않을 경우에는 규제차익으로 빅테크에 경쟁우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황 연구위원은 "빅테크 사업모형의 특성상 소수에 의한 지배적 플랫폼이 구축되기 쉬워 불공정경쟁과 독과점이 발생해 시장효율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면서 "자회사 외 제3자에 대한 불공정한 대우, 우월한 시장지위를 이용한 불투명한 수수료 부과 등이 문제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시장에서는 보험업이 금융권에서 디지털화(digitization)가 가장 느린만큼 빅테크의 보험업 진출이 시장 내 혁신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빅테크는 보유한 인프라와 기존 금융사 대비 우수한 자금조달력을 이용해 전통적인 보험사들이 개발하지 못한 상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할 수 있어서다. 

수요(소비자) 측면에서 빅테크 보험사는 온라인 플랫폼 한 곳에서 손쉽게 여러 회사의 상품을 비교·제공 할 수 있어 소비자 편의성도 높아진다.

이 같은 순기능에 대한 기대감은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 금융사들의 자금조달력과 시가총액을 보면 알 수 있다.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한 카카오페이(18조9684억원, 이하 11일 기준) 외에도 인터넷전문은행은 카카오뱅크(28조784억원) 역시 기존 금융사 대비 시가총액 규모가 크다.

국내 세 번째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토스)는 비상장사이지만 장외주식 시장에서 신한지주 시가총액(19조2433억원, 코스피)보다 높은 20조971억원에 달한다.

이달 3일 상장한 카카오페이는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지난달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이틀간 진행한 공모주 청약을 통해 증거금 5조7000억원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상장당일에는 시초가(9만원) 두 배인 18만원에 거래를 시작한 바 있다.

카카오페이는 국내 빅테크 기업 중 유일하게 보험업에 뛰어든 곳이다. 카카오페이는 자회사로 법인보험대리점(GA) KP보험서비스를 두고 있고, 보험 상품을 만드는 원수보험사까지 설립하기 위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카카오페이손해보험' 설립 예비인가를 받아 놓은 상태다. 

카카오페이는 디지털 손해보험사로 '카카오페이손보'를 선보이기 위해 본인가를 남겨둔 상태이며, 현재 본인가 신청을 준비 중이다. 회사는 카카오페이손보를 늦어도 내년 초에는 선보이겠다는 방침이다.

디지털손보사 설립을 준비 중인 카카오페이도 부작용 우려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신원근 카카오페이 전략총괄부사장(CSO)는 지난 10일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보험에 대한 것은 자회사인 KP보험서비스가 수행하고 있다"면서 "단순하게 많은 상품을 취급하는 것이 포커스가 아니라 합리적 상품 큐레이션으로 판매하는 게 사용자에게 더 이득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 부사장은 "카카오페이의 원수사도 들어와서 여러 회사들 사이 소비자들에게 선택 받는 구조가 될 것"이라며 "사용자 선택을 받는 것은 상품성에 기반한 것이지, 의도적으로 우리(카카오페이) 것이 잘 팔리도록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