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택시 배차 알고리즘'을 공개했다. 택시업계와 정부 제재에 기업 기밀을 공개한 셈이다. 사진은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 택시에 승객이 승차하는 모습.(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택시 배차 알고리즘'을 공개했다. 택시업계와 정부 제재에 기업 기밀을 공개한 셈이다. 사진은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 택시에 승객이 승차하는 모습.(사진=카카오모빌리티)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코드 검증 결과, 승객 호출 거리·영업 거리에 따른 차별 로직이 없다고 발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20년부터 택시업계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자사 우대행위' 의구심을 받아왔다.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 1월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적 책임 강화 행보의 일환으로 발족한 기구다. 대한교통학회가 추천한 학계 교통분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 왼쪽부터 여화수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 이진우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위원장), 김진희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김인희 공주대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사진=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 왼쪽부터 여화수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 이진우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위원장), 김진희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김인희 공주대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사진=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택시업계와 공정위 등에서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하자 위원회는 알고리즘 공개를 권고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알고리즘을 외부에 공개했다. 알고리즘은 기업 '영업 기밀'로 꼽힌다. 당시 모빌리티 업체를 비롯한 스타트업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알고리즘까지 공개해야 하느냐는 불만이었다. 

가장 이슈가 됐던 '택시 영업 방식 및 승객 호출 거리에 따른 차별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는 "영업방식과 승객 호출 영업거리에 따른 차별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카카오 T 배차 진행 알고리즘. (자료=모빌리티위원회 간담회 갈무리)
▲ 카카오 T 배차 진행 알고리즘. (자료=모빌리티위원회 간담회 갈무리)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전달한소스코드가 실제 활용되는 소스코드와 다를 수 있다고 판단, 지난 7월 29일 사전 예고 없이 카카오모빌리티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후 콜 발송 이력 17억건을 전체 분석했으나 차별 로직은 없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택시 배차 알고리즘은 차별보다 '인센티브'에 초점이 맞춰졌다. 김인희 공주대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검증 결과 특정 기사에게 페널티를 주는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았다. 오히려 콜을 잘 받으시는 분들에게 더 많은 콜이 가게 돼 있다. 열심히 하는 분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 이익 측면에서 설정된 알고리즘이다. 소비자가 택시를 덜 기다릴 수 있게 하는 기사분들에게 콜이 몰리도록 설계된 셈"이라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배차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배차 알고리즘도 검증했다. 택시업계에선 카카오 T 가맹 기사에게 '장거리 배차'가 집중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위원회가 2022년 4월 한 달간 카카오 T 실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맹기사보다 일반기사의 장거리(10km 초과) 배차 비중이 높았다. 

▲ 실적 데이터 기반 검증 자료. (자료=모빌리티위원회 간담회 갈무리)
▲ 실적 데이터 기반 검증 자료. (자료=모빌리티위원회 간담회 갈무리)

위원장을 맡은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가맹 기사에게 수익성이 높은 장거리 배차 기회가 집중된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오히려 일반 기사가 장거리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일반 기사는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고, 가맹 기사는 확인이 불가하다. 일반 기사의 선택 자유도가 가맹 기사에 비해 높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오히려 일반 기사 장거리 배차 비중이 높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최종 보고서 발표 전까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이번 검증 과정을 통해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이 사회와 교통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깊이 있게 모색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