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의 IT서비스 기업 LG CNS가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여파로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27일 LG CNS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국을 제외한 주요 아시아 국가에서 부진한 실적을 냈다. LG CNS의 3분기 인도 매출은 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매출도 각각 17%, 30% 줄었다. 아시아 지역에서의 실적 부진은 전자정부 수출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LG CNS는 과거 개발도상국들이 많은 동남·중동 아시아 지역에서 전자정부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매출을 올렸다.

국내에서 다수의 공공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LG CNS에게 전자정부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동남·중동 아시아 국가들의 신규 프로젝트들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기회였다. 하지만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여파로 아시아 국가의 전자정부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할 기회가 줄었다. 지난 2013년 도입된 대기업참여제한제도는 대기업이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에 입찰하는 것을 금지했다. 일부 대기업들이 공공 SW 사업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견·중소 IT서비스 기업들에게 기회를 주자는 취지였다. 단 국가안보 및 신기술과 관련된 공공 SW 사업에는 대기업의 참여가 허용됐다.

올해로 대기업참여제한제도가 시행된 지 7년째를 맞이하면서 LG CNS의 국내 공공 SW 프로젝트 수행 사례(레퍼런스)도 줄었다. 이로 인해 해외 전자정부 사업에 참여할 기회도 감소했다. 회사 관계자는 "아시아 지역 정부들이 전자정부 사업 발주를 낼 때 최근 3~5년간의 레퍼런스를 요구하는데 대기업참여제한 제도 시행 이후 레퍼런스가 없어 해외 사업 참여 기회도 줄었다"며 "자연히 해당 지역 매출액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제시한 대기업참여제한제도 개선안의 영향으로 LG CNS의 아시아 지역 매출이 회복될 수 있을지 관심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월 공개한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개선안은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해외 진출시 대기업 참여 필요성 △대중소기업 동반 해외진출 조건 부여 등을 해외진출 관련 사업의 심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해당 조건들을 충족한다고 판단되면 대기업의 공공 SW 사업 참여를 허용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IT서비스 대기업들은 정부가 이러한 조건들로 대기업의 공공 SW 사업 참여를 실제로 허용하는 사례가 나올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LG CNS는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는 선전했다. LG CNS의 올해 3분기 중국 매출은 960억원으로 해외 매출 중 가장 큰 몫을 차지했다. 중국은 LG전자와 LG화학 등 주력 계열사들의 주요 생산시설을 가동하는 국가다. LG CNS는 계열사들의 생산시설에 들어가는 각종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한다.

LG CNS의 미국법인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540억원, 유럽법인은 85% 늘어난 48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국은 LG전자가 가전 사업을 활발히 펼치는 지역이다. 유럽은 LG CNS가 스마트그리드와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을 진행하며 LG 계열사가 아닌 대외 고객을 상대로 한 매출도 꾸준히 올리고 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