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알기 쉽게 풀어서 전해드립니다.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민간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구글클라우드(GCP) 등 이른바 ‘글로벌 빅3’가 평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들도 들어오지 못한 영역이 있긴 합니다. 바로 공공부문 클라우드인데요. 정부가 2025년까지 ‘클라우드 대전환’을 예고하면서, 토종기업들도 성장을 위한 잰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토종기업 다 뛰어드는 공공시장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클라우드보안인증(CSAP)’을 받은 기업들에게만 열려 있습니다. 현재 CSAP 인증을 받은 CSP로는 KT·NHN·네이버·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이 있는데요. 아직까지 외국계 사업자 중에는 인증을 획득한 업체가 한 곳도 없습니다. 인증을 받으려면 공공기관만을 위한 ‘공공 존(zone)’을 별도로 마련하는 물리적 망 분리 등의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외국계 기업들은 글로벌 정책상 국내서 따로 요구하는 조건들을 수용하기 어렵다 보니, CSAP가 일종의 규제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인증을 받는 게 상대적으로 용이한 토종기업들에겐 외국계 기업이 없는 공공 시장이 무주공산(無主空山)이나 다름없습니다. 이 시장에선 KT·NHN·네이버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죠. NHN은 오는 4월 클라우드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독립법인을 신설할 예정입니다. KT도 클라우드·IDC(인터넷데이터센터)사업을 떼어내 KT클라우드를 세우기로 했죠. 두 회사가 바라보는 방향은 같습니다. 국내외 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와중에, 공공부문에서 기회가 열리고 있으니 사업을 떼어냈을 때 ‘폭풍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된 거죠. 공공에서 입지를 다지고, 중소·중견기업 수요를 노려 시장에서 최대한 몸집을 키워내는 게 국내 기업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그림입니다.

공공시장, 얼마나 열리길래
사실 이전까지는 CSAP를 취득한 기업들에게도 공공시장의 벽은 높기만 했습니다만 코로나를 계기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자 정부도 빗장을 풀게 됐죠. 코로나 백신접종 사전예약시스템이 ‘먹통’이 됐을 때, 민간 클라우드들이 해결사로 나섰던 게 대표적인 예입니다. 헌데 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사업, 어느 정도의 규모인 걸까요. 먼저 행정안전부는 오는 2025년까지 행정·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1만9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100% 전환·통합합니다. 이른바 ‘한국판 뉴딜계획’의 일환이죠.

행안부는 1만9개 가운데 54.5%에 해당하는 국가안보・수사・재판・내부업무처리 등 중요도가 높은 정보시스템은 공공클라우드센터로 이전하고, 나머지 46%의 시스템은 민간클라우드센터로 이전한다는 방침입니다. 작년 행안부가 낸 자료에 따르면 올해 이 사업에는 2402억원의 예산이 책정돼 있습니다. 작년(430개)의 5배에 달하는 총 2149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방침이고, 2025년까지 총 86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작년보다 23% 늘린 총 979억원을 클라우드 사업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클라우드 전문기업 수도 2024년 3000개까지 늘리고, 같은 기간 동안 전문인재 1만명 양성에 나섭니다. 또, 오는 5월부터 12월까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해 약 20개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600개 이상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이용료를 지원해주는 ‘클라우드 바우처 지원사업’에는 무려 11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하네요.

사실 기존에는 행정기관이 내부 업무를 처리할 땐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금지하고, 보안사고가 터지면 책임을 공공기관장에게 묻는다는 규정이 있어 실제 민간 클라우드 활용률이 떨어뜨리는 ‘독소조항’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난달 행안부는 민간기업이 행정기관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고, 행정기관이 이에 대한 이용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CSAP의 한계를 벗어나, 민간 클라우드가 공공부문에 다양한 형태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예상도 나옵니다. 현재로서는 토종기업들이 외국계 클라우드 기업들의 높은 벽을 뛰어넘긴 어렵지만, 공공부문 공략을 통해 성장의 마중물 정도는 마련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