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올해 11월 2일을 기다리고 있다.

그날은 애플이 숨겨놓은 또 하나의 신제품(one other thing)을 발표하는 날도 아니고, 구글의 '히든카드'가 공개되는 날도 아니다. 시쳇말로 ' TGiF'(Twitter-Google-iPhone-Facebook)와는 관계가 없다. 11월 2일은 미국 콜롬비아 로스쿨에서 사이버 공간에 관한 법률을 가르치는 팀 우의 신간 <마스터 스위치>(The Master Switch)가 출간되는 날이다.

대체 그 책이 뭐길래, 애플 신제품과 구글 서비스보다 더 관심을 두고 기다리고 있는가.

미디어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세운 마셜 맥루한은 '전구보다는 그 빛이 만들어낸 새로운 세상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즉, 전구라는 새로운 발명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발명이 인간의 낮과 밤의 개념을 바꾸고, 새로운 삶의 양식과 산업의 구조를 창조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옳은 말이다. 전구가 있고 말고는 우리에게 '더 나은 쥐덫'일 뿐이다. 쥐를 잡지 못하는 쥐덫에 아무리 스펙이 더해진다 한들 의미 없다. 그 전구가 우리 삶에서 전에 없던 가치를 창조할 때 그 것이 우리에게 중요해진다.

그리고 이 같은 변화에는 늘 '가치의 교환'이 발생했다. MIT에서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가르쳤던 엘링 E. 모리슨이 그의 저서 <인간, 기계, 그리고 현대 사회>(Men, Machines, and Modern Times)에서 지적한 것처럼 '인간은 자연을 극복하기 위해 기계를 만들지만 그 기계에 의해서 또 다른 제한된 현실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마셜 맥루한의 '예언자적 사명'을 물려받은 사회평론가 닐 포스트먼이 <죽도록 즐기기>(Amusing Ourselves to Death)에서 날카롭게 통찰한 바와 같이 TV를 통해서 우리에게 일어난 변화는 더 우리의 감각을 만족시키는 미디어 소비만은 아니다. TV가 등장하기 전에 링컨과 더글라스가 논쟁을 벌였을 때, 그들의 대담이 진행된 시간은 하루 종일이었다. 그 것은 가족 단위로 참석하는 공동체 행사였고, 논의에 집중하다 지친 사람들을 위해 잠시 집에 가서 식사를 하는 시간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TV가 미디어의 중심인 세상에서, 정치 토론은 3분 다이제스트로 소화된다. 정치 뿐만 아니라 교육, 종교 등도 모든 것이 쇼 비즈니스의 일부가 되가고 있다.

TGiF도 결국 멀지 않은 미래인 1년, 3년, 10년이 지나면 그저 한 때의 유행일 뿐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우리는 그보다 더 큰 질문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 그것은 한 마디로 '지금이 우리가 기존의 미디어에서 어떤 다른 미디어로, 기존의 산업에서 어떤 다른 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는 시기냐'는 것이다. 지식 정보화 사회라는 것, 지식 경제라는 것은 어떻게 진화하고 있고, 어떤 국면에 돌입했냐는 것이다.

그래서 <마스터 스위치>에 열을 올리고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마스터 스위치는 20세기 정보 산업(information industry)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우리는 이미 잊고 있는 사실이지만, 라디오, TV, TV 케이블, 영화 등도 모두 '개방형' 네트워크로 시작했다. 지금의 인터넷과 마찬가지였다.

상업적 전기의 아버지인 니콜라 테슬라는 1904년 라디오에 대해 이렇게 썼다. "만약 전 지구의 각 부분이 전체의 일부로 상호 작용하게 된다면 거대한 뇌로 변할 것이다"라고. D. W. 그리프스는1920년에 영화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공립 학교의 아이들이 실제 움직이는 그림들을 보며 공부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반드시 다시 역사를 읽어야만 하는 의무에 시달리지 않게 될 것이다." 슬론 재단 보고서는 1970년에 케이블 TV의 등장을 '가동 활자의 발명'과 비교하기도 했다. 톰 스토패드의 <사랑의 창조>(The Invention of Love)의 한 극중 인물은 1976년에 언급하기를 "모든 사람들이 지금이 현대라고 생각하지만, 지금이야말로 진정 현대이다"라고 했다.

현재 인터넷, 소셜 웹에 대한 기대와 마찬가지로 라디오, TV, TV 케이블, 영화가 발명되었을 때, 그들이 아직 개방형 네트워크였을 때 사람들의 가슴은 장미빛 이상주의로 부풀어 올랐었다. 그들은 기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 당시에는 실제 지금의 인터넷 산업에서 수많은 벤처들이 활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지역 방송국들이 있었고, 스튜디오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 많던 혁신은 이제 다 어디로 갔는가. 그리고 지금은 어떤 시대인가.

라디오, TV, 케이블TV, 영화는 모두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폐쇄형 네트워크로 변해갔다. 다수에 의한 혁신은, 소수에 의한 독점으로 변해갔고, 독점적인 체제는 개방형 네트워크보다 폐쇄형 네트워크를 선호했다. 정부의 정책을 통해서 그 폐쇄형 네트워크는 보호받기 시작했고, 우리 인간의 망각이라는 못된 버릇은 그 역사 자체를 잊기 시작했다.

지금은 어떤 시대인가. 팀 우가 말하려는 것은 '그 역사는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이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 있었던, 야후가 죽고, 구글이 태어나고, 구글이 흔들리고, 페이스북이 올라올 수 있는 기반이 되었던 인터넷이 위기이기 때문이다. 모든 콘텐츠에 동일한 전송 자격을 부여하는 인터넷의 '망 중립성'이 위기에 있기 때문이다. '독점적'인 20세기 산업 구조로부터 그 인터넷 기반을 지키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한, 인터넷 역시 폐쇄형으로 변질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픈과 소셜이 대세인 것 같은 시대에 인터넷이 폐쇄형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놀라울 수 있다. 하지만, 과거 20세기 미디어의 개방과 폐쇄가 순환했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또 지금 오픈과 소셜이 정점이라면 그 앞 길은 오히려 그 반대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개방형 인터넷의 수호자처럼 굴던 구글이 남몰래 미국의 망 공급 시장을 AT&T와 양분하고 있는 버라이존과 밀약하여 모바일 트래픽에 대해서는 망 중립성을 배제시키려는 움직임을 볼 때 그 설득력은 근거를 더해간다.

그렇게 오픈과 소셜은 유행이지만, 그 기반이 된 인터넷 자체는 위기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발표에 열광하고 있는 사이, 인터넷은 조용히 변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팀 우는 <마스터 스위치>의 서장에서 정보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외에 일반인들이 이 책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를 이렇게 썼다.

정보 산업이 다른 산업과 다른 이유는 사람이 영양분을 음식에 의지하 듯이 자신의 영혼을 외부의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지식 경제가 가속화된다는 이야기는 외부 정보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의 급부상은 이제 모든 콘텐츠가 인터넷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이 곧 미디어의 전부인 시대가 오고 있다. 그런데 만약 인터넷이 더 이상 개방형이 되지 않는다면, 인터넷이 폐쇄형으로 변하고 20세기의 라디오, TV, TV 케이블, 영화가 그랬던 것처럼 소수 과점 기업에 의해 콘텐츠가 공급되는 형태로 변질된다면, 그것은 위가다.

그것은 지식경제 사회에 미디어가 사회의 주축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사회의 성격을, 개방에서 폐쇄로 변화시킨다. 정보의 흐름을 소통에서 통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인 인간의 자유를, 개방형 인터넷을 통해 확보할 수 있었던 표현의 자유를, 영혼의 권리를 손상시킨다. 그래서 이 것은 정보의 흐름에 의지하여 살고 있는 이 디지털 혁명의 시대 구성원인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슈다.

20세기 개방형 라디오 네트워크가 독점 체제로, 폐쇄형으로 바뀌는 것에 가장 관심을 가졌던 인물 중 하나가 히틀러의 선정선동가였던 괴델스였다. 그는 국가의 이념과 국민의 사상을 일치시키려면 개방형 네트워크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

반대로 헨리 포드의 자서전을 감명깊게 읽었던 영국의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는 이 개방형 네트워크를 폐쇄형 네트워크로 바꾸고 있는 20세기 초 독점 기업 포드주의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것은 공장에 적용하기는 효율적인 시스템일 지 몰라도 인간의 영혼에는 부적절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대량 생산이, 독점 기업에 의한 공급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후일 <놀라운 신세계>(Brave New World)라는 역작을 썼다.

이 것은 큰 이야기다. TGiF 이야기, 아이폰4G와 갤럭시S의 스펙 이야기보다 훨씬 더 큰 이야기다. 온갖 신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스펙 비교 이야기는 1년 후, 3년 후, 그리고 10년 후가 지나면 일부 역사가나 관심을 가질 사실이지만, 기술과 사회의 변화, 그리고 그 변화가 우리에게 주는 기회와 도전의 이야기는 우리가 지금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나중에는 후회할 수도 있는 이야기다. 그래서 나는 11월 2일을 기다리고 있다.

아이폰4G와 갤럭시S의 비교는 결국 둘 중 어느 회사의 제품을 살 것이냐의 문제겠지만, 인터넷이 어떻게 변하느냐의 문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우리가 속한 사회의 정체성, 그리고 나 자신의 본질적인 자유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