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1일, 자체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Bada)를 발표했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과 단말기 전문 시장 조사와 컨설팅 업체인 로아그룹(http://www.roagroup.co.kr)은 ‘삼성 자체 Platform Bada에 대한 ROA의 현 시점에서의 코멘트’라는 자료를 공개했다. 자세한 사항은 12월에 공개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는 않지만 삼성전자는 왜 ‘바다’를 출시했고, 향후 스마트폰 시장에서 ‘바다’가 지향하는 지점은 무엇인지 윤곽을 잡을 수 있는 글이다. 로아그룹의 동의를 거쳐 이곳에 게재한다.

samsungbada0911
▲ samsungbada0911

1. Bada의 실체 – Mentor의 RTOS인 Nucleus OS의 Customized 플랫폼

Bada는 최근 다양한 스마트폰(Smart Phone) OS들이 지원하는 방향성과 같은 길을 가고 있다. 즉, 삼성전자는 단말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사용자경험(UX)을 전달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가지고, 서비스 중심의 네트워크 연결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고, 단말의 핵심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다양한 UX를 개발자 행사와 자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를 통해 자사 단말에서의 생태 시스템(Ecosystem)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삼성 자체 플랫폼이라고 발표된 Bada는 실상 자체 플랫폼은 아니다. 멘토 그래픽스(Mentor Graphics)의 RTOS인 Nucleus OS를 삼성전자에 맞게 최적화시킨 플랫폼이다. 이는 마치 최근에 단말 벤더들이 안드로이드(Android)를 커스터마이즈하는 방향성과 비슷하다.

주지하고 있겠지만, 삼성의 OS 전략은 현존하는 모든 멀티 OS 지원에 있다. 이러한 전략의 배경은 어떠한 OS가 뜰지도 모르고, 소비자들이 어떠한 OS를 원할지 모르니 모두 대응한다는 것이 기본 정책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같이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할 수 있는 형태의 전략이다.

따라서, 이번 플랫폼도 특정 OS와는 독립적인 실시간OS(RTOS) 기반의 플랫폼을 고려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발표를 두고, 개발자 커뮤니티 일부에서는 RTOS로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했다는 사실 자체가 내부 개발진들을 통해 엄청난 리소스를 투자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 같은 성과를 거둔 사실에 감탄하고 있다. 이는 Bada가 공개된 이후, 다른 개발자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도 비슷한 평가이다.

Bada는 표면적으로 RTOS와 UI 프레임워크를 애플리케이션 탑재ㆍ구동이 가능하도록 진화시킨 것이다. OS의 핵심 커널(Kernel)은 리눅스로도 대체할 수 있다. 삼성은 지난달 10월 21일, Nucleus OS의 국내 판매 대행사인 AT코리아를 통해 Nucleus OS 채용 계약을 업데이트했다. 일종의 Bada에서의 채용을 위한 확장 라이선스 계약이라고 볼 수 있다.

2. 커스터마이즈의 성과는 UI 차별화와 멀티태스킹 능력 향상

이미 삼성은 햅틱 단말을 포함해 Jet 등 수많은 현존 터치스크린 단말에 Nucleus OS를 채용해 왔다. 삼성이 Nucleus OS를 커스터마이즈해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온 성과는 첫째, 자체 UI인 터치위즈 UI의 개발과 적용이고 둘째는 RTOS에서 구현하기 힘든 멀티태스킹 능력의 향상이다. 원래 RTOS는 이벤트 처리와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1대 1로만 가능한 싱글 태스킹인데, 삼성은 Nucleus OS를 커스터마이징 해서 마치 스마트폰의 멀티태스킹처럼 보이게 구현했다. 이는 엄청난 성과이지만, 엄청난 내부 리소스가 투입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이다.

3. 초기 터치 기반 단말에서 다양한 Emerging Device로의 확장 채용 예상

공개된 Bada의 홈페이지를 살펴보면, Bada의 초기 타깃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 폰으로 초기 시장을 잡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차후 플랫폼 공통화를 통해 삼성이 개발하는 다양한 단말로의 확장(즉, Emerging Devices)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삼성이 자체적으로 추진할 멀티 스크린 플레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와 무관하지 않다.

Bada가 RTOS 기반의 자체 플랫폼을 채용하게 됨으로써 삼성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마치 보다폰이나 타 이통사들의 앱 스토어처럼 멀티 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 출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폰 베타바인(보다폰 앱 스토어)에 들어가면,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이 자바용, 심비안용, 리눅스용, 윈도우 모바일용 등으로 나눠져 있는데, 삼성의 앱 스토어 역시 이런 형태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삼성이 배포하게 될 SDK나 UI개발툴, 시뮬레이터 들이 멀티 OS로 배포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시장성이나 선호도를 보고 애플을 개발해야 한다. 이것이 다소 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정 OS와 긴밀하게 연동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이처럼 개발자 입장에서 너무 많은 플랫폼의 SDK가 생기는 것도 문제일 수 있다.

4. 국내가 아닌 글로벌 시장 겨냥, 해외 이통사 친화적 대응 전략 지속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Bada는 국내 시장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영문으로 아주 글로벌하게 타깃을 설정했다. 현재의 북미 시장처럼 대 이통사 친화적 전략을 이어가겠다는 것이 명확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스터마이징에서 차별화를 꾀했기 때문에 존재가치는 충분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통합 플랫폼을 고려했다는 측면에서는 개인적으로는 좋은 점수를 받고 있다. ROA는 그 동안 안드로이드를 커스터마이즈한 삼성만의, 그리고 LG만의 플랫폼을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고 얘기한 바 있는데, Bada는 RTOS를 기반으로 하고는 있지만 방향성은 일치하기 때문이다.

향후, 삼성의 멀티 플랫폼 전략에서 Bada는 큰 쉐어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윈도우 모바일과 안드로이드를 비슷한 수준으로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심비안은 유럽 시장에서의 일부 대응만을 위한 OS로 입지를 가져갈 것이다.

5. Smart Phone OS 및 출하량 확대를 통한 하이엔드 Smart Phone 시장에서의 입지 구축

어제 발표된 수많은 기사 중 일부 기사에서 Bada를 통한 삼성의 향후 전략을 예상할 수 있는 중요한 코멘트가 있다.

삼성전자 MSC(모바일솔루션센터) 육현규 수석은 "개방형 플랫폼인 바다를 탑재한 폰은 일반폰이라도 스마트폰으로 분류된다"며 내년 상반기부터 적지않은 물량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궁극적으로 2억대라는 삼성 휴대폰 물량 전체가 스마트폰으로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업계 일각에서는 오는 2012년께 삼성전자 단말의 절반 가까이가 바다를 탑재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는 Bada가 RTOS 기반이고 멀티 범용 OS에 모두 대응하기 때문에, Bada 플랫폼만 얹은 것이면 모두 스마트폰의 부류로 들어가게 되고, 다양한 리서치 업체를 통해서 Bada가 하나의 스마트폰 쉐어의 하나로 들어가게 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이렇게 될 경우, 현재 심비안 – 블랙베리 – 아이폰 OS의 3강 체제(+ Android 입지 확대)로 가고 있는 스마트폰 OS 시장에 발을 담그게 되고, 현행 몇 %에 불과한 삼성의 스마트폰 장악력을 조금씩 늘릴 수 있게 된다는 포석이 깔려있다.

6. SK텔레콤 T-PAK 전략은 하나의 반면교사

이번 삼성의 Bada 플랫폼 공개는 마치 SK텔레콤이 2년 전 많은 리소스를 투자하고 개발해 단말 제조사에 푸시하려고 했던 T-PAK의 형상과도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T-PAK 또한 멀티 OS를 수용하고(OS Independent) 기존 위피 + UI프레임워크를 통합한 플랫폼이었고, 단말 제조사는 T-PAK을 이용해 이론적으로 원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올릴 수 있게끔 지원한다는 것이었다. 이노에이스 측에서 개발자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를 운용하고 각종 개발자 지원을 하게 되어 있었다.

다만, 삼성전자는 단말 제조사이기 때문에 자사가 개발하는 단말에 Bada 플랫폼을 얹히돼 이통사와의 합의 하에 이통사가 원하는 전략서비스를 Bada 플랫폼 위에 모두 임베디드 시켜주겠다는 다소 이통사 친화적 제스처를 취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SK텔레콤의 T-PAK 문제처럼, 삼성전자의 이통사 파트너들이 Bada 플랫폼을 크게 선호하지 않을 경우 삼성전자 또한 마음대로 Bada 플랫폼을 쓰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일단 Bada는 국내 시장이 타깃이라고 볼 수 없다. 즉, 해외에서 철저하게 이통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커스터마이징해주면서 일부는 해당 이통사의 앱 스토어와 연계해 시장 파이를 함께 키우자는 방향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전면적으로 이통사의 전략서비스를 Bada 플랫폼 위에 포팅해 아예 친 이통사적 플랫폼으로 변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문제는 오랜 기간 동안 숙성되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플랫폼이 시장에 뿌리내리기란 쉽지가 않다는 판단인데, Bada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멀티 OS에 커스터마이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Bada의 진화를 고려하고 있을 것이다. 앞서 살펴 본 SK텔레콤의 T-PAK 문제점은 삼성전자 Bada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반면교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 Well-Made 플랫폼으로서의 Bada의 향후 전략

향후, Bada에게 남겨진 숙제는 현재의 스마트폰 OS들이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를 위한 구현의 견고성 여부에 있다. 다만, 삼성전자가 기존 피쳐폰(Feature Phone)에서 경험한 다양한 경험과 전략을 개방형으로 전환하면서 스마트폰 화할 것이라는 전략이 얼마만큼 시장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냐는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힘들다.

즉, 피쳐폰에서의 스마트폰화 전략의 핵심은 통합이라는 키워드인데, 이러한 통합의 전략은 단 한번에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경험을 축적시키는 것만이 유일한 방향이기 때문이다. 서드 파티(3rd Party)들의 호응도 여부도 여기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한가지 우리들이 알고 있는 부분은 개방형 오픈소스 전략이 그렇게 쉬운 전략은 아니라는 점이다. 삼성전자 역시 심비안 파운데이션(Symbian Foundation)과 윈도우 폰(윈도우 모바일의 새이름)의 현재 시장 점유율 하락과 참여 사업자와 개발자들의 지지 여부들이 주는 시사점을 통해 Bada 전략을 전개해 나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ROA는 삼성전자의 멀티 플랫폼 전략이 Bada – Android – Windows Phone – Symbian 순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2010년 이후 심비안의 성과와 결과물에 따라 현재 대응하고 있는 심비안에 대한 플랫폼 대응은 현재 국내에서 추진중인 리모(LiMo) 플랫폼에 대한 대응책과 같이 시장 반응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을 것이다.

문제는 시장 구분인데, Bada는 삼성전자만의 스마트폰에 맞춰진 하이엔드를 타깃으로 하는 플랫폼 전략에 활용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미드레인지에서는 안드로이드를 활용한 플랫폼 전략으로 비중을 적절하게 유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