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야심차게 시작한 '디지털 뉴딜' 사업이 1주년을 맞아 준수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핵심 사업인 데이터 댐 구축과 일자리 창출,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인프라의 활용·확산 및 인재와 신산업 육성에 중점을 둔 '디지털 뉴딜 2.0'에 2025년까지 49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1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디지털 뉴딜 1주년 주요 성과를 공유했다. 먼저 재정 투자 측면에서 지난해 국내 디지털 뉴딜 사업에는 총 10조1000억원의 예산이 데이터 댐 등 인프라 구축에 투입됐다.

▲ 디지털 뉴딜 1.0 성과를 발표하는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 (사진=과기정통부)
▲ 디지털 뉴딜 1.0 성과를 발표하는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 (사진=과기정통부)

데이터 댐, 관련 기업 양성 및 일자리 창출에 효과 '톡톡'
데이터 댐은 디지털 뉴딜 1.0의 핵심 사업 중 하나다. 인공지능(AI) 기반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회 각 분야와 국민들이 AI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다량의 학습 데이터를 정부 차원에서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기존 소프트웨어(SW)·시스템통합(SI) 기업들이 데이터 댐 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데이터 공급 기업은 2019년 대비 3배(393개→1126개) 가까이 늘었으며 같은 기간 AI 공급 기업도 4.5배(220개→991개)로 증가했다.

데이터 댐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데이터셋은 금융·교통·문화·의료 등 4300여종에 이르며 10억건 이상의 분야별 데이터가 개방되기 시작하면서 국내 데이터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4.3% 성장했다. 이 과정에서 적잖은 일자리 창출 효과도 발생했다. 디지털 뉴딜 주요 사업들을 통해 총 9만여명의 일자리가 생겨났으며 데이터 댐에만 5만명이 참여했다.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1만5000명)까지 더하면 과반 이상이 데이터 관련 사업 일자리였던 셈이다.

국민 체감 서비스 대거 증가하고 디지털 격차 줄어
디지털 산업 육성과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한 디지털 뉴딜 사업은 "국민 누구나 디지털 혜택을 향유하게 하겠다"는 목표에 대해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 1년간 국민비서(19종), 보조금24(300여종) 등 424개의 대국민 공공 서비스가 제공됐으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K, 80만명), 여행예보 서비스(13만명), VR 스포츠실(10만명), 모바일 건강관리 서비스(3.5만명) 등 약 220만명 이상의 국민들에게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혜택이 돌아갔다. 또 전국 1000여개 디지털배움터에서 진행된 취약계층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과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등을 통해 60만명 이상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격차 해소 노력도 이어졌다.  

기업 투자 확대, 정부 인공지능 지수 19계단 '점프'
규제 개선과 기술 개발 촉진, 기업 투자 독려 등을 통한 경제 성장도 이뤄냈다. 지난 1년 동안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해 총 73건의 규제 특례가 부여됐고 디지털 전문계약제도를 도입해 1100억원 규모의 대규모 계약이 체결됐다.

디지털 뉴딜의 주요 R&D 사업을 통해서는 AI, 지능형반도체, 실감콘텐츠 등 미래 선도기술 787개가 개발됐으며 기술이전 167건, 특허출원 407건 등 다방면에서 기술 개발 성과가 나타났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그중 177개 기술은 실제 자율주행자동차, 혼합현실(XR) 등 산업현장에서 실증이 이뤄졌고 AI 정밀 의료 SW 21종, 돌봄로봇 등 89개 디지털 서비스에도 이용되고 있다.

디지털 인프라 투자 측면에선 최근 디지털 뉴딜에 호응해 네이버, LG전자, SKT, KT 등 주요 기업들이 '초거대 AI' 개발에 나서며 대단위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은 5G 구축에 3년간 총 25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기업 간 연대와 협력 강화에 방점을 둔 '미래차 뉴딜펀드(현대차, 2000억원)', '민간 데이터 댐' 구축 움직임 등도 활발하다.

정부는 계속된 기술 투자와 규제개선, 세액 공제 등을 통해 이를 더욱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노력이 어우러져 한국은 국가별 AI 활용 수준과 준비 정도를 나타내는 정부 인공지능 지수는 2019년 대비 19계단 상승한 7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뉴딜 1.0 성과 구체화하는 '디지털 뉴딜 2.0' 온다
한편, 정부는 14일 제4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한국판 뉴딜 2.0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 강화, 비대면 인프라 고도화, 초연결 신산업 육성 등이다. 이는 디지털 뉴딜 1.0의 성과들을 고도화, 구체화하는데 목표가 있다.

먼저 데이터 댐 구축 단계에서 가명정보 결합 등을 강화한 '데이터 댐 전주기 활용'을 강화하고 산업 전 영역에서 5G 특화망을 중점 활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조기 적용을 지원한다. AI는 권역별 강점과 특성을 반영해 지역 거점 중심의 대형 선도 사업을 기획·추진할 계획이다.

비대면 인프라 강화 측면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현실과 비슷한 가상세계) 기업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는 한편, 콘텐츠 제작과 핵심 기술 개발도 종합 지원할 예정이다. 초연결 사회 구현을 위한 디지털 트윈, 블록체인, 클라우드 사업 전반에 대한 기술 지원과 공공 프로젝트 발굴에도 박차를 가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서 대통령이 말씀하신 것과 같이 관계부처와 함께 지속 발전하는 디지털 뉴딜 2.0'을 만들어갈 계획"이라며 "여러 채널을 통한 협업과 소통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디지털 뉴딜 2.0 계획 (자료=과기정통부)
▲ 디지털 뉴딜 2.0 계획 (자료=과기정통부)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