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D디스플레이. (사진=삼성디스플레이)
▲ QD디스플레이.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가전·IT 박람회(CES)에서 ‘QD(퀀텀닷) 디스플레이’와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직접 비교를 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휘도(화면 밝기) 등을 언급하며 QD디스플레이만의 특징을 강조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가스 앙코르호텔에서 QD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시장에선 QD디스플레이를 사실상 OLED 패널로 보고 있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QD디스플레이를 "세계 최초로 QD를 내재화한 자발광 디스플레이"라며 기존 OLED와 다른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날 행사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는 QD디스플레이와 기존 OLED 간 차이 설명에 집중했다. 다른 기술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셈이다. QD디스플레이가 적용된 TV와 모니터를 설명할 때도 기존 OLED를 옆에 두고 비교하며 설명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존 OLED를 적용한 TV를 두고 평범한(Conventional) OLED TV라고 표현했다.  

QD디스플레이 부문 진행을 맡은 배상돈 삼성디스플레이 프로는 “기존 OLED가 WRGB(빛의 삼원색에 백색 소자를 추가)라면 QD디스플레이는 RGB를 쓴다. WRGB가 필터링을 통해 색상을 구현한다면, QD디스플레이는 청색 물질이 빛을 받으면 색상이 변환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QD디스플레이는 기존 OLED와 비교해 입체적인 화면을 제공한다. 블랙 디테일(화면 어두운 부분)과 높은 휘도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삼성디스플레이 설명에 따르면 QD디스플레이는 0.0005니트(밝기 단위)에서 1500니트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배상돈 프로는 또 “기존 OLED 패널은 정면과 측면에서 볼 때 차이가 있다. 색상 사실감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는데, QD디스플레이는 거의 동일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날 55, 65형 TV용 패널과 34형 모니터용 패널을 선보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상반기 중 QD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폴더블로 중소형 OLED 점유율 회복 나선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시장에는 뒤늦게 뛰어들었다는 평가를 받지만, 스마트폰 등 중소형 OLED 부문에선 시장 점유율 1위를 오랜 기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최근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삼성디스플레이 모바일용 OLED 패널 점유율이 올해 60%대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3분기 출하량 기준 삼성디스플레이 모바일용 OLED 점유율은 72.9%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날 중소형 OLED 부문에서 개발중인 플렉스 S(Flex S), 플렉스 노트(Flex Note), 플렉스 슬라이더블(Flex Slidable) 등 다양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플렉스 S는 두 번 접을 수 있는 OLED 패널 기술을 의미한다. 패널을 크게 3등분으로 나눠 왼쪽 부분은 안쪽으로, 오른쪽 부분은 바깥쪽으로 접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패널을 펼쳐 넓은 화면으로 쓸 수도 있다.

▲ 멀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플렉스 S. (사진=삼성디스플레이)
▲ 멀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플렉스 S. (사진=삼성디스플레이)

플렉스 노트는 반으로 접을 수 있는 17.3인치 패널이다. 중소형 OLED 부문 설명을 맡은 김현구 삼성디스플레이 프로는 “상황에 따라 노트북도 될 수 있고, 모니터도 될 수 있다. 태블릿으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멀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플렉스 노트. (사진=삼성디스플레이)
▲ 멀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플렉스 노트. (사진=삼성디스플레이)

플렉스 슬라이더블은 디스플레이 안쪽에 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말려있는 구조다. 평소에는 기존 스마트폰 구조와 동일하지만, 화면 확장이 필요한 경우 말려있는 디스플레이를 빼서 쓸 수 있다. 다만 이날 공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 양산 단계에 접어들지는 못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고객사 상황에 따라 양산 계획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