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S 검색사업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MS는 그동안 후발주자로 뛰어들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주도권을 넘겨받아왔다. 그만큼 MS의 저력은 무서웠다. 하지만 검색에 있어서만큼은 잘 안통하고 있다는 얘기였다.
인터넷 시장조사 업체 닐슨/넷레이팅스에 따르면 2005년 2월 기준으로 MS의 웹 검색 시장 점유율은 14%였다. 구글은 46%였다.
이후 MS는 '라이브 검색'으로 브랜드를 개편하고 새로운 검색 엔진도 발표하는 등 구글 따라잡기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국내외 언론에서는 'MS와 구글의 전면전'으로 묘사되기까지했다. 마음먹고 뛰어들었음을 감안하면 2년이 지난 지금 검색시장에서 MS의 점유율은 좀 올라가 있는게 상식적이다. 다른 분야에서는 쭉 그래왔으니 말이다. 그러나 상황은 정반대다.
MS의 웹검색 점유율은 2년전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2007년 2월 기준으로 9.6%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반면 구글은 56%에 육박하고 있다. 수치만 놓고보면 MS의 검색 전략은 지금까지는 약발이 잘 안먹혔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MS의 검색사업을 담당하던 두 명의 고위 경영자가 회사를 떠난다는 얘기가 터져나왔다. 블레이크 어빙 윈도 라이브 플랫폼 그룹 부사장과 크리스토퍼 페인 라이브 검색 담당 부사장이 바로 그들이다. 어빙 부사장은 여행, 페인 부사장은 창업을 위해 회사를 떠난다고 알려졌다. 이 가운데 페인 부사장은 지난 2003년 MS 고위 경영진을 설득해 검색 사업에 뛰어들도록 한 사람중 한 명이란 점에서 지지부진한 검색 사업 실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 구글과 MS의 검색 전쟁을 MS의 패배로 규정하기는 너무 이르다. 구글이 잘하고 있고 MS가 주춤하는 것은 맞는 말이지만 앞으로도 이 판세가 이어진다고 볼수는 없다는 얘기다. 검색 시장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요구한다. 익숙한 것과의 결별은 말처럼 쉽지 않다.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 네이버에 이미 익숙해진 국내 사용자들이 다른 검색 서비스에 눈길을 잘 주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를 감안하면 MS가 구글의 검색 영토를 빼앗는 것도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문제는 시간이 영원히 MS의 편은 아니라는 것이다. 최근들어 웹은 점점 더 플랫폼으로 변하고 있다. 데스크톱을 완전 대체하기는 역부족이지만 플랫폼으로서 웹이 지닌 가능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e메일부터 고객관계관리(CRM) 애플리케이션도 데스크톱에서 웹으로 넘어오고 있다. MS가 장악한 데스크톱OS와 오피스 플랫폼이 구글 등 새로운 경쟁자들에 의해 잠식당할 수 있는 환경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윈도와 오피스가 어떤 제품인가? MS가 서버,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서비스 등 새로운 영역에 막강 화력을 쏟아부을 수 있는 든든한 '곡창지대' 역할을 맡고 있는 제품군이다. 후발주자인 웹서비스 시장에서 윈도와 오피스를 위협하는 움직임이 벌어진다면 MS로서도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웹에서 자리를 잡기전에 검색을 비롯한 인터넷 서비스가 데스크톱 시장의 기반을 뒤흔드는 것은 MS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앞서 시간이 영원이 MS의 편이 아니라고 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MS로서도 가능한 빨리 웹에서 확실한 거점을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래서일까? 요즘 검색시장을 향한 MS의 공세수위가 점점 올라가고 있다. MS는 최근 PC업체 레노보와 윈도 라이브 툴바를 사전 탑재키로 합의한 데 이어 일부 기업들에게 'MS의 검색엔진을 쓰면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는 당근까지 꺼내들었다. 이게 끝은 아닐 것 같다. 인터넷 사업에서 계속 답보상태를 면치 못한다면 MS는 더욱 강력한 공격전술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웹과 데스크톱, 그리고 MS의 미래에 대한 함수관계를 감안한다면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