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업을 성공으로 이끈 경영자를 주인공으로 다룬 책은 독자층을 확보하는데 있어 '반은 먹고' 들어간다. 도대체 어떤 전략과 전술로 성공신화를 써내려갔는지는 경영과 경제에 관심있는 독자들을 끌어들이는데 손색이 없는 스토리 구조다.

<아이콘 스티브 잡스><이건희 개혁10년>은 각각 애플의 부활을 이끈 스티브 잡스와 삼성을 세계적인 기업의 반열로 만든 이건희 회장의 개혁을 다루고 있다.

애플과 삼성 모두 대단한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는 만큼, 두 경영자 스토리는 나오자마자 독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나 역시 이 두권의 책을 모두 읽었다. 그러나 읽기를 완료한 시점은 다르다. <아이콘 스티브 잡스>는 2005년말에, <이건희 개혁10년>은 한달전쯤에 마지막 페이지를 넘겼다.

읽고난 후의 느낌은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 두사람 모두 강력한 의지를 갖고 회사의 변화를 주도했다는 것이다. 경영이란게 결과로 승부하는 것이니 두 사람 모두 성공한 경영자라는 평가를 받을만하겠다.

그러나 <아이콘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 개혁10년>은 두 경영자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아이콘 스티브 잡스>는 잡스의 뛰어난 면을 부각시키면서도 인간적인 결함도 빼놓지 않고 있다. 잡스를 아이맥과 아이팟을 앞세워 침몰직전의 애플을 구한 영웅으로 묘사하면서도 그의 오만과 독선으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도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다.  

<아이콘 스티브 잡스>를 읽고나면 잡스는 창조적 열정으로 가득차있지만 옆에 있으면 어딘가 피곤한 스타일이란 결론에 이르게 된다. 애플에서 이 책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건희 개혁10년> 역시 이건희를 위기의 삼성을 구출한 영웅으로 묘사하고 있다. 책속에 비친 이건희란 사람은 기업의 미래에 대한 선견지명과 국가에 대한 우국충정으로 가득찬 것처럼 보인다.  마치 신화에 나오는 영웅이야기를 보는 듯 하다.

경영자도 사람인데, 과연 전지전능이 가능한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삼성자동차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건희 개혁10년>에 삼성자동차 얘기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대부분이 성공스토리로 이뤄져 있다. 읽는내내 내가 아쉬움을 느꼈던 것도 지나치게 칭찬으로 도배가 됐다는 것 때문이리라.

이건희의 개혁을 높게 평가하되 그 속에서 벌어졌던 시행착오도 비중있게 다뤘다면 좀더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책이 됐을 것이다. <이건희 개혁10년> 뿐만 아니라 삼성의 성공을 다룬 책들이 대부분 비슷한 논조로 이뤄져 있다. 이유는 알아서들 판단하시라^^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는 각자의 길을 걸으며 성공신화를 쏘아올렸다. MP3플레이어쪽에서 충돌이 없지 않았지만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가 맞대결을 펼친 경우는 별로 없었다. 한마디로 두사람은 '노는 물'이 달랐다.

그러나 앞으로는 상황이 바뀔수도 있을 것 같다. 애플의 휴대폰 '아이폰' 때문이다. 애플과 삼성전자가 휴대폰 시장에서 격돌한다는 시나리오는 충분히 예상가능한 시나리오다. 빅매치가 성사된다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 두 개혁군주의 이야기는 앞으로도 쭉~ 계속된다.

휴대폰 시장의 컬트 브랜드 '아이폰' 떴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