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이달 29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풀만호텔에서 열린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식' 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이달 29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풀만호텔에서 열린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식' 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하는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됐다.

30일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과기정통부가 국가 과학기술과 AI 정책 전반을 이끄는 역할을 맡게 됐다.

이번 개편으로 과기정통부 장관은 부총리를 겸임하며 국무총리 명을 받아 과학기술·AI 정책 관련 중앙행정기관을 총괄·조정한다.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국장급)'이 신설된다. 또 관련 부처 장관들이 참여하는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도 출범한다. 과기정통부는 "새 장관회의는 단순한 안건 처리 기구가 아니"라면서 "부총리가 직접 기획·조율하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전담 조직도 확대된다. 기존 국 단위였던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인공지능정책실'로 격상된다. 인공지능정책실은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산하에 두고 정책 기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총괄한다. 인공지능정책기획관은 AI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제도 설계, 인재 양성을 담당한다.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은 AI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확충, 산업 전반의 AI 전환 지원을 맡는다.

대변인 직위도 국장급에서 실장급으로 높아졌다. 과기정통부는 "복잡한 과학기술·AI 정책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개편은 단순한 정부조직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과 AI를 통해 국민 삶과 산업 구조 전반의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부총리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해 국민 모두가 AI 혜택을 누리는 '인공지능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