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사진 제공=고려아연
고(故)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사진 제공=고려아연

고려아연을 비철금속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시킨 최창걸 명예회장이 6일 향년 8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941년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0년 경기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거쳐 미국 콜롬비아대에서 MBA를 취득했다. 1974년 부친 고(故) 최기호 초대회장과 함께 고려아연 창립을 주도한 그는 자원도, 기술도 없던 한국에서 제련산업을 처음으로 뿌리내렸다.

최 명예회장은 국제금융공사(IFC)를 설득해 자금을 확보하고 1978년 울산 온산제련소를 완공했다. IFC가 "7000만달러가 필요하다"고 했지만 그는 "4500만달러로 충분하다"고 맞서 공사를 끝냈다. 불모의 산업 기반에서 세계 1위 제련소를 세운 이 일화는 오늘날까지도 재계에서 뚝심 경영의 상징으로 회자된다.

그가 세운 토대 위에서 고려아연은 불과 30년 만에 아연·연·금 제련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비철금속기업으로 성장했다. 세계 광산업체들이 거래의 기준으로 삼는 벤치마크 제련수수료(TC) 협상 테이블에 앉는 유일한 제련사도 고려아연이었다.

최 명예회장은 생전 고려아연을 '가문의 기업'이 아닌 '구성원의 공동체'로 여겼다. 그에게 회사는 혈연이 아닌 노동과 신뢰로 맺어진 연대체였다.

이제중 부회장은 "최 명예회장님은 고려아연을 최씨 가문이나 특정 가누구의 회사가 아닌 임직원 모두의 회사라고 생각하셨다"며 "늘 직원들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먼저 고민하셨다"고 회고했다. 이런 최 명예회장의 리더십 아래 고려아연은 38년 무분규, 102분기 연속 흑자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 갈등 대신 신뢰로 구호보다 실천으로 조직을 단단히 세운 그의 경영 방식은 한국 산업사에서도 보기 드문 모범으로 남았다.

장례는 7일부터 4일간 회사장으로 치러진다.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이 장례위원장을 맡으며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0호실에 마련됐다. 영결식은 10일 오전 8시에 거행될 예정이다.

키워드
#고려아연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