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온스당 4000달러선을 눈앞에 뒀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중앙은행의 매입세 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세계 주요 국가들의 부채 증가에 따른 재정적 우려가 커지면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6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한때 온스당 397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 약 50% 상승했다. 중앙은행들의 대규모 매입, 금 상장지수펀드(ETF) 수요 증가, 달러 약세와 무역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 속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한 영향이다.
미국에서 이날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중지) 6일째 이어졌지만 의회가 예산안 합의에 이를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미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셧다운이 시작된 이후 약 75만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 상태에 놓였다. 또 연말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에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되면서 시장 내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프랑스에는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가 취임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사임하면서 정국 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집권 자민당이 강경 보수 성향의 다카이치 사나에를 새 총리로 선출해 취임이 유력시된다. 다카이치가 제로(0)금리에 가까운 완화적 통화정책과 대규모 재정지출을 지지해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엔화 가치는 달러당 150엔 선을 넘어서고 유로화 대비로도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삭소은행의 올레 한센 원자재 전략 책임자에 따르면 8월 이후 금 ETF로 유입된 물량이 약 150톤에 달해서 총 보유량이 사상 최대인 3025톤에 달했다. 그는 “현재의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이 전통적 안전자산 거래 외의 대안을 찾고 있기 때문에 이번 랠리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센은 “현재의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이 전통적 안전자산 거래 외의 대안을 찾고 있기 때문에 이번 랠리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올해 들어 금값이 45%나 급등한 상황에서 잠재적 투자자들이 ‘고점 부담감’을 느끼고 있지만 지금 금속과 같은 실물자산을 바라보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는가 하는 점이 더 근본적인 질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골드만삭스는 금 ETF로의 강력한 자금 유입과 중앙은행들의 매수 가능성을 근거로 2026년 12월 온스당 금 가격 전망치를 기존 4300달러에서 4900달러로 대폭 상향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민간 부문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금 시장으로 분산투자를 확대할 경우 ETF 보유량이 금리 모델상 추정치를 웃돌 수 있다”며 금 가격이 이번에 상향된 수준도 웃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