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이 한국에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KSSL; Korea Software Solution Lab)를 세운다. IBM은 이에앞서 지난 2004년 7월 정보통신부와 각각 150억원씩을 투자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소를 설립, 운영하고 있다.
한국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는 강남구 도곡동 한국IBM 본사 내에 위치하며, 4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업무에 들어간다. 연구 소장은 현재 IBM유비쿼터스 컴퓨팅연구소 남정태 소장이 겸임한다. 스티브 밀즈 부회장은 투자 금액에 대해서는 "센터 투자비를 공개한 적이 없다"고 함구했다. 하지만 센터 규모나 향후 비즈니스 상황을 파악해보면 지난 2004년에서 2008년까지 150억원을 투자한 금액보다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소는 HiPODS(High Performance On Demand Solutions) 센터, 글로벌 뱅킹 센터 오브 엑설런스(Center of Excellence), 서비스기반아키텍처(SOA) 컴피턴시 센터, 유비쿼터스 이노베이션 센터 등 4개의 전문 센터로 구성된다. 초기 20여 명의 인원으로 출발해 향후 여건을 보면서 유연하게 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는 IBM이 전세계적으로 축적한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한국 기업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IBM이 국내에 이와 같은 솔루션 특화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연구소는 기업들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활용하여 혁신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산업군의 특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업무를 하게 된다.
한국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는 IBM의 비즈니스 통찰력, IT 기술관련 노하우, 고객사의 IT 환경 최적화를 구현한 다양한 경험과 자산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한다. 특히 전세계에 위치한 글로벌 소프트웨어 연구소와도 긴밀하게 협력하여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의 국내 도입에도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다.
정통부 관계자는 "IBM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 설립을 환영한다. 새로운 연구소를 통해 소개되는 IBM의 신기술과 산업특화 솔루션은 국내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 역량과 인프라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에 설립되는 연구소는 산업별로 특화된 SOA 솔루션, 최적화된 차세대 금융 솔루션, Web 2.0을 비롯한 신 기술 및 첨단의 유비쿼터스 솔루션 등 국내 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비즈니스 영역의 솔루션 개발과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어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국내의 앞선 IT 인프라에 IBM의 신기술과 산업특화 솔루션이 결합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솔루션 영역을 창출해 내는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사진 설명 : KSSL 초대 소장을 맡게된 남정태 IBM유비쿼터스 컴퓨팅연구소 소장)
한국IBM은 2004년 7월 유비쿼터스컴퓨팅연구소를 설립해 이클립스 기반의 RFID 개발툴, 텔레매틱스 미들웨어, 모바일 분야에 적용가능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u-헬스케어 분야에 적용 가능한 원천 기술들을 연구해 왔다.
텔레매틱스 미들웨어는 '토바즈'라는 이름을 갖고 있으며 이 제품은 u-시티 통합 관제 센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u-시티 시범 단지에서 파일럿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이 연구는 오는 7월 말 완료된다.
RFID 연구는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데 이클립스 기반 RFID 개발툴이 연구 성과물이다. 이 제품은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와 u-헬스케어는 내년 7월까지 연구된다. 임베디드 자바쪽으로 스마트폰에 적요되는 소프트웨어와 자바 버추얼 머신 등이다. 국내 단말기 제조 업체들과 이를 연구해 왔다. u-헬스케어는 의사들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영향을 미친 데이터들을 저장, 관리하는 영역이다.
남정태 IBM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소 소장은 "지난해 성과 발표가 있었고, 올해도 관련 자리를 마련할 것이다. 연구된 과제들은 IBM과 학계, 산업체 인력들이 모두 참여했고, 정보통신부에서 이런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했다. 향후 이런 연구 성과들이 상용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래는 한국IBM이 밝힌 '한국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 소개 자료다.
HiPODS 센터
HiPODS(High Performance On Demand Solutions) 센터는 전세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IBM 내부에서도 독특한 조직으로,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어렵고 복잡한 IT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HiPODS 그룹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도입/구현하고자 하는 고객과의 협업을 통해 이노베이션을 창출해낸다. eBay, Schwab, Bharti, Sprint Nextel과 같은 시장개척 기업들이 HiPODS의 대표적인 고객들이다.
HiPODS는 1) eBay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광범위한 인프라를 구축했고, 2) 초당 650 건의 지하철 출입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여 천만명에 이르는 싱가포르 통근자의 출퇴근 환경을 크게 개선했으며, 3) Sprint Nextel에 웹2.0 플랫폼을 제공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바 있다.
HiPODS 센터는 미국, 영국, 일본, 인도, 중국, 브라질에 이어 7번째 글로벌 HiPODS 센터가 된다. 이 센터는 SOA, 가상화기술, 그리드 컴퓨팅,웹2.0 등 IBM의 폭넓은 기술 및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고객이 기존 IT 업무 환경과 솔루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HiPODS 센터의 전문가들은 고객 맞춤형 솔루션 개발을 위해 고객과 긴밀하게 협력한다.
글로벌 뱅킹 센터 오브 엑설런스
글로벌 뱅킹 센터 오브 엑설런스(Center of Excellence)는 금융기관들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센터는 코어뱅킹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그리고 IBM의 시스템 z와 같이 금융기관의 업무에 적합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에 전문성이 있는 기술인력과 뱅킹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뱅킹 센터 오브 엑설런스는 아키텍처 및 디자인 워크숍, PoC(Proof of Concept), 프로토타입 프로젝트, 벤치마크를 포함하는 차세대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에 기술적인 지원과 조언을 제공한다. IBM의 솔루션 파트너나 고객의 협력업체도 IBM 뱅킹 센터 오브 엑설런스를 통해 지원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는 이 센터를 통해 자사의 애플리케이션을 IBM의 시스템 z에 최적화할 수 있으며, 센터는 국내 뱅킹 에코시스템 전체의 리소스 센터로 활용될 수 있다.
SOA 컴피턴시 센터
SOA 컴피턴시 센터(SOA Competency Center)는 IBM 고객들이 직면하고 있는 비즈니스 이슈를 해결하고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SOA 솔루션 통합에 필요한 요소 기능 및 툴 등을 개발하고, SOA솔루션 구현을 위한 기술을 지원한다. SOA 컴피턴시 센터에서 개발된 솔루션 요소 기능과 툴 등을 기반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SOA 솔루션을 프로토타이핑하여 쉽게 솔루션을 검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IBM 글로벌 센터들과 연계하여 최신의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창구 역할을 수행한다. SOA 컴피턴시 센터는 IBM의 통합 SOA솔루션이 차별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촉매제 역할을 수행하면서 성공적인 SOA 구현 사례를 만들어 가기 위한 기술 지원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 이노베이션 센터
유비쿼터스 이노베이션 센터(Ubiquitous Innovation Center)는 IBM의 각종 유비쿼터스 기술과 솔루션을 SOA 솔루션과 접목하여 맞춤형 솔루션으로 패키징하고 구현에 필요한 각 종 기술을 지원하게 된다. 주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돕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IBM의 고객과 파트너가 센터 내의 데모 센터를 활용하여 기술의 미래 방향을 쉽게 파악하고,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것이다.
특히 이 센터는 선진 인터넷 인프라와 모바일 환경을 갖춘 한국에서 파트너 사들과 함께 IBM의 각종 솔루션을 활용하여 튼튼한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성공적인 신종 서비스 제공 사례를 구현함으로써, 글로벌 솔루션으로 확대해 가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