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장(UC)에 거대한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UC 시장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통신 사업자와 솔루션 사업자가 손을 잡았기 때문.
KT와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용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공동 개발을 위해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두 회사의 협력으로 하나로텔레콤이나 데이콤, 마이크로소프트와 경쟁하는 한국IBM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필요성이 높아졌다.

하나로텔레콤은 지란지교소프트와 손을 잡고 자사 전화 서비스를 신청한 기업 고객에게 지란지교 메신저와 그룹웨어를 무상 제공해 왔다. (사진 설명 : 이동면 KT BcN본부장(왼쪽)과 유재성 한국마이크로소프트사장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데이콤도 e-비즈니스 솔루션 팀에서 그룹웨어를 개발 제공해 왔다. 한국IBM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경쟁하고 있지만 국내외 교환기 업체나 사업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제품 우선 지원 카드를 꺼내들면서 상당히 힘겨운 사업 환경에 휩싸이게 됐다.
두 회사는 지난해부터 관련 사업에 대해 논의를 해왔고, 이번 협력을 체결해 하반기에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KT는 인터넷전화(VoIP) 시장 진출을 위해 IP PBX와 IP 센트릭스 사업을 벌여 왔는데 이번 협력은 KT가 개인대상보다는 기업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VoIP 시장은 후발 별정사업자들이 공격적으로 사업을 벌여오고 있으며 그 주된 타깃이 기업 시장이었다. 후발 사업자들은 생산성 향상 측면보다는 통신비 절감 차원에서 기존 교환기를 IP PBX나 IP센트릭스 기반 VoIP로 유도하고 있는데 KT가 기업용 생산성 소프트웨어와 연동하게 될 경우 후발 사업자들이 내세우고 있는 통신비 절감을 쉽게 누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란,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도구와 서버를 IP-PBX, IP-센트렉스 등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기업용 서비스를 말한다.
기업 통합 커뮤니케이션 기반에서는 전자우편, 인스턴트메시지, 영상과 음성 회의, 이동전화, 비즈니스 솔루션,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이 한 차원 향상된 환경에서 맞춤제공되어 기업의 경쟁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미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KT는 IP-PBX와 IP-센트렉스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 오피스 서버군(Exchange Server,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SharePoint Server)을 공급하고 있다.
양사가 보유한 이러한 기술과 제품군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면 커뮤니케이션과 솔루션이 통합되어 가고 있는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유재성 사장은 “양사의 솔루션과 기술이 접목되면 한층 진화된 기업용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업 업무 환경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동면 KT BcN 본부장은 “KT와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다양한 기업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에서 또 하나의 관전포인트는 KT VoIP 사업부가 움직인 것이 아니라 BcN 본부에서 이를 추진하고 있다는 대목이다. 그만큼 새로운 망과 새로운 부가 서비스 개발까지 조금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김현정 부장은 "KT와는 꾸준히 협력해 왔다. KT의 고객들 중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한결 수월한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나 IBM, 핸디소프트, 한글과컴퓨터, 지란지교소프트 같은 그룹웨어와 협업 솔루션 제공 업체와 시스코와 LG-노텔, 알카텔-루슨트 등 통신 인프라 제공 업체들이 앞다퉈 세미나를 제공하면서 시장 키우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두 진영간 협력이 원할히 진행되지 않아 도입 자체가 탄력을 받지는 않았다.
이런 가운데 두 회사의 협력은 국내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장의 개화를 한껏 앞당기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