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후에 녹번역에서 경기도 일산 쪽으로 출발해 봤다. 며칠 전 지갑을 분실했는데 다행히 택시기사 아저씨가 주워서 원당역 6번 출구 앞 신문 판매점에 맡겨놨다기에 찾아가는 길이다. 그리고 겸사해서 얼마전 KT가 서울 전 지하철에 와이브로 투자가 완료됐다고 했으니 이것도 확인해 볼 참이다.
녹번역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구파발까지도 별다른 이상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축역으로 들어오면서 와이브로 접속 프로그램에 보이는 안테나 신호가 급격히 떨어졌다.

다음커뮤니케이션 TV팟 베스트분야(http://tvpot.daum.net/best/BestToday.do)를 띄우는데 3분이 넘도록 사이트의 모든 내용이 보이지 않았고, 그 후 와이브로 접속이 끊어졌다. 지축역에서 삼송(농협대)를 행하고 있지만 와이브로는 연결중이라는 화면만 나올 뿐 연결이 되지 않았다.
삼송역에 들어와도 신호는 잡히지 않았고, 접속에 실패했다. 최후의 방법. 카드를 뺐다가 다시 꽂았다. 신호가 미약한 환경입니다라는 것만 떠 있다. 지하였던 삼송역을 나와 지상 역인 원당역에 나왔어도 신호는 잡히지 않았다. 대화행 3호선을 본다면 지축역까지는 관련 설비를 구축한 것 같은데 거기까지인 모양이다. 쩝. KT에서 밝힌 서울과 수도권까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는 설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난감하다.
화정을 지나 대곡역에서는 그나마 신호를 잡으려는 상황이다. ‘와이브로 연결중입니다’라는 글이떴다. 하지만 끝내 접속은 이뤄지지 않았다. 대곡역 옆에는 일산과 서울외곽순환도로로 갈 수 있는 도로가 있다. 출퇴근길에 많은 자동차가 저 도로를 이용한다. 저 사용자들 중에 얼마나 와이브로를 쓸지 모르겠지만 아쉽다.
3호선 종점인 대화역 바로 전역인 일산 호수 공원이 있는 장발산역까지 다녀왔지만 신호는 끝내 나에게 오지 않았다. 나는 그렇게 불렀건만 와이브로는 날 외면했다. 주말에도 무척 많이 찾는 호수공원인데.
다시 장발산역에서 거꾸로 돌아왔고, 지축역에 들어서자 비로소 접속이 됐다.
다행히 지난 4월 3일 KT가 와이브로 서울 전역 확대 자료를 배포한 것이 있었다. 아래는 그 내용이다. 그내용을 다시 훑어보다가 순간 든 생각. '서울 전 지하철'이라는 문장이다. 가만 생각해보니, 지축은 서울이 아니다. 서울과 바로 인접한 경기도땅이다.
"그렇군, 서울 지하철에서는 되는데 지하철이 경기도로 들어가니 안된거군."
서울 전 지하철이 와이브로 영역에 들어왔다는 얘기는 확인된 셈이지만, 아쉬움은 좀 남는다. 요즘 지하철은 경기도를 넘어 충청도까지 뻗어있는데 경계를 넘었을 때 끊겨버리면 곤란하지 않을까. 하지만 투자는 단계적으로 확대될 테니, 이 부분을 지적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싶다.
3호선 지하철을 타고 글을 쓰다가 불광역에서 내렸다. 6호선 환승역에 가서 마포구청역에 내려 회사가 들어가기 위해서다.
서비스 이용 지역
ㅇ 서울시 옥외 전지역 및 서울소재 주요대학교(47개 대학)
ㅇ 지하철/철도 : 서울 전 지하철, 분당선(선릉~오리), 과천선, 인천공항철도
ㅇ 분당-수서/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 경부고속도로 서울-기흥
ㅇ 수도권 주요도시 대학 및 주변상가(7개 도시 17개 대학)
도시 | 대상 대학 |
인천광역시 | 안양대 인천캠퍼스, 인하대, 인천대 |
고양시 | 한국항공대 |
성남시 | 경원대 |
수원시 | 경기대, 성균관대, 아주대 |
안산시 | 한양대 안산캠퍼스 |
안양시 | 경인교대 경기캠퍼스, 성결대, 안양대 |
용인시 | 강남대, 경희대, 명지대, 용인대, 한국외국어대 |
※ 지하철 일부구간(5~8호선)은 최적화 작업(4월)으로 음영지역 발생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