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잘 지으려면 천기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하늘의 기운을 읽고 날씨 변화를 감지해야만 한 해 농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IT 업계(B2C 대상의 시장)의 천기는 무엇일까? IT의 소비자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이 천기이다. 컴퓨터 환경이 어떻게 바뀌느냐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해야만 IT 농사가 풍년이 들 수 있다. 

윈도우XP가 출시된 이후 컴퓨터 시장은 하드웨어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있어왔지만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지 못했다. 컴퓨터 제조업체는 새로운 CPU와 신기술이 적용된 컴퓨터를 출시했지만 사용자들은 새로운 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를 대체하지 못했다. 사용자들은 기존 컴퓨터로도 아무 무리없이 기존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스에서 윈도우95로 운영체제의 변화가 컴퓨터 시장의 커다란 지각변동을 일으켰던 것처럼, 윈도우 비스타가 새로운 변화의 물꼬를 트게 된다면 컴퓨터 환경은 크게 변화될 것이고 그것은 IT 시장에도 커다란 가치혁신을 가져다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윈도우 비스타가 주는 변화의 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장 큰 변화는 에어로클래스와 플림 3D로 대변되는 UI의 변신과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를 통한 향상된 그래픽 기능이다. 

도스에서 윈도우로의 변신은 흑백 TV가 컬러 TV로 바뀌는 것과 같은 직관적이고 사실적인 사용자 경험을 가져다 주었다. 컬러 TV는 이제 HDTV와 IPTV라는 고화질과 인터랙티브한 기능으로의 변신이 진행 중이다. 마찬가지로 윈도우 비스타는 기존 윈도우의 GUI에서 한 단계 진화된 3D와 WPF를 활용한 진일보한 인터랙티브한 UX(User eXperience)를 가져다 줄 것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사용자는 WWW을 사용하는 것처럼 Desktop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WWW 역시 PC상에서 동작되는 Application처럼 훨씬 역동적이고 비주얼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보다 고사양의 CPU와 그래픽 카드를 요구할 것이고 그간 침체 상태에 빠져있던 하드웨어 시장은 호재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우리 IT 기획/개발/디자이너가 주목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WPF라는 코드명 아발론이라 불리는 개발툴이다. WPF는 XAML이라는 XML 스타일의 UI 기술 언어를 사용하기 위한 규약으로 .NET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2D, 3D,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텍스트로 이루어진 수준 높은 UI를 구현하도록 해준다. WPF를 통해서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는 업무 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평면적인 기존의 WWW 서비스를 Application처럼 즉각적 반응과 비주얼한 UI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Application은 기존에 비해 더욱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UI로 직관적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다.


바로 여기에 비즈니스의 기회가 있는 것이다. MS는 WPF를 통해 UI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WPF 저작툴에는 어도브의 드림위버, 포토샵, 플래시, 일러스트레이터의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WPF 저작툴로 생성된 XAML이라는 공통의 언어를 이용해서 보다 쉽게 협업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탄생된 UI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사용자 체험을 가져다 준다. 이전에 WWW에서 표현하기 어려웠던 것도, UI의 제약으로 서비스하기에 미흡했던 것도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바로 새로운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에 끌리기 마련이다. 아이팟의 세계적 성공 이유에는 아이팟이 주는 디자인적인 매력이 컸다. 비스타가 줄 수 있는 새로운 UI에 대한 체험은 사용자들에게 기존 것을 버리게 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비스타에서 사용 가능한 혁신적인 UI를 고민하라. 특히, 기존 Application은 이제 기능적 측면이 아닌 UI적 측면을 고려해서 재설계되어야 한다. 바로 비스타의 첫번째 기회는 UI에서 찾을 수 있다.


(사례 : New York Times의 WPF를 활용한 Appplication http://www.nytimes.com/mem/reader_regi.html)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