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호석유화학의 개인 최대주주인 박철완 전 상무가 회사 측의 교환사채(EB) 발행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며 정면대응 의지를 밝혔다. 이에 그간 잠잠했던 금호석유화학의 경영권 분쟁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박 전 상무는 30일 입장문에서 '자사주를 담보로 한 EB 발행은 주주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며 '사측이 이를 강행할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 전 상무는 금호석유화학 측을 겨냥해 '자사주 활용과 관련한 정관 개정을 요구한다'며 '만약 자사주를 담보로 한 EB 발행을 강행한다면 이에 찬성하는 이사회 구성원에 대해 일반주주들과 함께 민형사상의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무분별한 자사주 활용, 자사주 스와프 등으로 기업가치와 일반주주의 이익을 훼손하는 결정을 내리는 것은 주주 충실 의무 위반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박 전 상무는 고(故) 박정구 금호그룹 회장의 장남이자 박찬구 회장의 조카다. 그는 2021년 초 박 회장 측과 갈등을 빚으며 경영권 분쟁의 중심에 섰으며 현재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박 전 상무의 이번 발언이 단순한 견제 차원을 넘어 본격적인 이사회 입성을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 전 상무가 다시 목소리를 높이는 배경에는 최근 국회를 통과한 2차 상법개정안이 있다. 개정안에서는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고 감사위원 분리선출 요건을 강화했다. 집중투표제가 시행되면 소수 지분으로도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줄 수 있다. 이에 박 전 상무(11.49% 지분)의 이사회 진입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박 전 상무 측은 "아직 경영권 분쟁은 끝나지 않았다"며 "추가 지분 매입과 함께 이사회에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을 계속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호석유화학 측은 즉각 진화에 나섰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현재 EB 발행은 여러 옵션 중 하나일 뿐 확정된 사안이 전혀 없다"며 "지난해 기보유 자사주 50%를 3년에 걸쳐 소각하기로 한 뒤 이미 두 차례 처분을 완료했으며, 내년 3월에는 나머지도 소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잔여 자사주 절반에 대해서는 업황, 투자기회, 임직원 보상체계, 자본조달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겠다"고 밝히며 기존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