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서비스 '실손24'가 25일부터 의원과 약국으로 확대된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명·손해보험협회 등과 점검회의를 열고 2단계 시행 준비 상황과 향후 추진계획을 점검했다고 23일 밝혔다.
실손24는 병원 창구 방문이나 서류 제출 없이 보험금 청구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손보험을 보유한 국민 누구나 실손24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진료비 영수증, 세부산정내역서,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취약계층은 '제3자 청구'나 '나의 자녀청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시작된 실손24는 시행 1년 만에 의원·약국으로 범위를 넓힌다. 전체 10만4541개 요양기관 가운데 현재 1만920곳(10.4%)이 실손24 시스템에 연계돼 있으며 병원급·보건소의 연계율은 54.8%, 의원·약국은 6.9% 수준이다. 금융위는 전자의무기록(EMR) 업체 참여가 늘면서 연계 기관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직 연계되지 않은 병원이나 약국을 이용한 경우 '참여 요청하기' 기능으로 요양기관 연계를 요청할 수 있다. 요양기관의 참여는 의무사항이며, 2단계 시행 이후에도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또 금융위는 요양기관의 참여 확대를 위해 인센티브를 마련했다. 실손24에 연계한 기관은 내년 1월부터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감면(5년간 0.2%p), 내년 11월부터 배상책임보험 등 일반보험료 3~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종합병원 의료질평가 시 실손24 연계 여부를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향후 금융위와 유관기관은 미참여 요양기관과 EMR업체를 대상으로 참여를 적극 독려할 방침이다. 지난달 발표한 '청구전산화 활성화 방안'에 따라 기관별 참여 현황을 상시 점검하고, 미연계 기관에는 실손24 연계 지원을 강화한다. 의료행정 데이터와 응급의료포털(E-gen) 정보도 연계해, 소비자가 청구 가능한 기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의원·약국 확대는 실손보험 청구전산화가 정착하는 중요한 단계"라며 "요양기관과 EMR업체가 제도 취지에 공감하도록 협조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