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노을 
/사진 제공=노을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업체 노을의 자금 조달 계획에 빨간불이 켜졌다. 유상증자 발표 이후 주가가 하락하면서 조달 규모가 100억원 가까이 줄었기 때문이다. 실적 부진과 최대주주 청약 참여율 등 여러 이유가 혼합된 결과로 풀이된다. 투자심리를 회복시키지 못하면 최종 발행 규모도 축소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노을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와 관련해 1차 발행가액을 1788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유증 결의 당시 예정 발행가액(2440원)보다 26.7% 낮은 수준이다. 12월 산출할 2차 발행가액과 비교해 더 낮은 금액이 최종 가격으로 결정된다.

유증에 대한 시장의 회의적 시선이 반영된 결과다. 노을은 유증 발표 직후 주식가치 희석 우려로 주가가 하락했다. 3400원대에 달하던 주가는 하루 만에 2700원대로 떨어졌다. 이후에도 하락을 거듭하다 현재 2000원 초반대로 내려앉은 상황이다. 유증으로 발행될 신주가 발행주식 총수 대비 38.82%에 달해 그 자체로 주가 하방 요인이었다.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고 있는 것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기술특례 트랙으로 상장한 노을은 기업공개(IPO) 당시 2024년 매출 402억원이라는 전망치를 내놓았다. 핵심 진단 제품인 마이랩(miLab)을 중심으로 공급계약을 논의 중인 해외 신규 고객향 매출이 순차적으로 반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 매출은 예상치보다 한참 못 미친 16억원에 그쳤다. 신규 고객 확대가 예상보다 더뎠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변이 출현 등 대외적 악재로 공급 일정 전반에 차질이 발생했다.

노을 측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조기 종료돼 정상적인 영업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가정했으나, 오미크론 출현 등으로 확산이 지속됐다”며 “이로 인해 예상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말라리아 진단 사업이 실제적으로 수행되기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대주주의 낮은 청약 참여율도 기대감을 떨어트리는 데 한몫 했다. 일반적으로 대주주의 청약률은 책임경영 의지를 가늠하는 지표로 평가된다. 따라서 낮은 참여율은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노을의 최대주주는 지분 15.48%를 보유한 미국 소재 법인 엠씨드다. 엠씨드는 222만969주의 배정분 가운데 10%만 청약하기로 했으며, 청약자금 또한 신주인수권증서 매각대금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공동창업자인 임찬양 대표, 김경환 부사장, 안정권 부사장이 50% 청약을 약속했지만, 결과적으로 대주주 측 전체 청약 물량은 22.5%만 예정된 상태다.

노을 입장에서는 이번 유증의 흥행이 중요하다. 기술특례 상장사인 노을은 관리종목 지정을 유예받았지만, 올해부터는 안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코스닥 상장 규정에 따르면 3년간 2회 이상 법인세 차감 전 계속사업손실(법차손) 비율이 자기자본 대비 50%를 초과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연매출이 30억원 미만이거나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일 경우에도 관리종목 지정 사유에 해당된다.

 

 

노을의 경우 세 요건 모두 우려가 있다. 지난해 연결기준 법차손 비율이 111.4%에 달하는 데다 매출 또한 16억원에 불과하고, 올해 상반기 기준 42.5%의 부분자본잠식인 상태다. 매출 요건은 유예기간이 내년까지 적용되지만, 법차손 비율은 지난해 유예가 끝났다. 상반기 자본잠식률도 관리종목 지정요건과 7.5%p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자본 확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키워드
#노을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