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광고과잉 시대를 살고 있다. 매일 쏟아져 나오는 신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광고는 물론이고 기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을 유지 강화하기 위한광고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광고 등이 넘쳐나고 있다. 이 같은 공급과잉으로 인해  ‘자본주의 사회의 이라고도 불리는 광고도 왠만한 자태와 향기가 없으면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하는 신세로 전락한다.  독창적인 신선함과 기발함이 없으면 아예 소비자들의 눈길마저 끌지 못하고 사라져 버리고 만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관심과 눈길을 사로잡기 위한 광고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최근들어게릴라 광고’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그대로 게릴라 광고는 정규군 광고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일반 광고 - 필자가 그냥 붙여본 이름임)와 달리 소규모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눈길이 머무는 어느 곳에나 기습적으로 등장, 소비자들의 관심을 자극하는 방식이다얼마전 동아일보에서도 기사로 다뤘듯이 미국에서는달걀 껍데기와 비행기의 식탁 받침대 등에도 광고가 등장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공중화장실의 소변기에도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아침식사 준비를 위해 계란을 때도, 비행기 좌석에서 식사를 하는 순간에도 우리는 광고의 습격에서 벗어날 없는 세상을 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런 게릴라 광고가 얼마 전 미국 대도시 가운데 하나인 보스톤을 테러공포로 몰아 넣는 웃지못할 해프닝이 벌어졌다.  보름전 지역의 만화전문 케이블방송사가 캐릭터 홍보를 위해 기습적으로 지하철역과 교량 10여 곳에 전자장치를 이용해 불빛이 깜박이는 광고물을 설치했는데 테러리스트에 의한 폭발물로 오인한시민들이 이를 신고, 지하철과 차량통행이 전면 통제되는 보스턴 전역이 테러공포로 패닉상태에 빠져든 . 결국 폭발물 제거반까지 출동, 한바탕 소란을 겪은 후에야 그것이 게릴라 광고물로 밝혀지면서 시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일상생활로 돌아갈 있었지만 광고물 제작자들은 법정에 서야하는 운명에 처하게 됐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게릴라 광고와 보스턴의 웃지 못할 해프닝을 보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우선  ‘과다광고를 제한할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지 않나하는 것 이었다.  매스미디어와 인터넷에서도 넘쳐나는 광고로 짜증나는 일도 많은정보의 홍수시대에 눈길가는 곳마다 똬리를 틀고 있는 게릴라 광고는 도시미관 자연경관을 해칠 아니라 현대인의 정신건강에도 별로 좋을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보스톤의 게릴라 광고 사건은 9.11이후 테러공포에 떨고 있는 미국사회의 단면을 여과없이 드러낸 셈이다. 사건과 관련, 전문가는 “9.11이전 이었다면 광고물이 테러공격의 일환으로 오인되는 일은 없었을 이라며  “9.11미국시민들의 의식구조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으며 여파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이라고 분석했다




9.11발생한지 어느덧  5, 이번 게릴라 광고 사건은 여전히 테러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인들의 불안감이 과연 언제나 해소될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