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 담당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와 관려한 파장이 일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정황을 포착하고 "강제 조사에 나섰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 당국 관계자들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28일 현재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다. 이번 수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7월 발족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이다.
해당 임원은 상장사 공개매수를 주관하는 등 IB 업무를 총괄하는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 정보를 개인적으로 이용해 수년간 수십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합동대응단은 금융위 강제조사관 등을 중심으로 압수수색에 나섰고 증거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증권사 IB 부문은 기업 인수합병(M&A)과 공개매수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핵심 부서로, 정보 유출 시 시장 공정성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동대응단은 주시하고 있다.
앞서 9월 '1호 사건'으로는 종합병원·한의원·대형학원 운영자 등 이른바 '슈퍼리치'들과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금융회사 지점장 등 금융 전문가들이 손잡고 1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동원해 벌인 대형 주가조작 사건이 적발됐다. 당시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혐의자 재산을 동결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불공정거래에 대해 "패가망신 시키겠다"고 강조해왔다. 이번 사건이 금융 전문가와 금융회사 임원급 인사들에 대한 당국의 강도 높은 감시와 처벌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NH투자증권 측은 공식 입장을 밝힐 때가 아니라는 뜻을 전하며 상황을 살피고 있다고 알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