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가 카카오톡과 미국 오픈AI의 생성형 AI 서비스 챗GPT 연계를 시작했다. 채팅탭 상단에 있는 챗GPT 버튼을 클릭하면 카카오톡 안에서 질의응답·이미지 생성·인공지능(AI) 에이전트 '카카오 툴즈(Kakao Tools)'를 이용할 수 있다.
유용하 카카오 AI 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2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 카카오아지트에서 카카오톡 개편 설명회를 열고 "챗GPT에 적용된 가장 최신 기술을 카카오톡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날부터 앱 업데이트를 진행해 챗GPT 연계 서비스 '챗GPT 포 카카오(ChatGPT for Kakao)'를 도입한다.

유 성과리더는 "카카오 툴즈로 기존 챗GPT 서비스와 차이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챗GPT 포 카카오 서비스에 카카오의 AI 에이전트 모음인 카카오 툴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카카오 툴즈는 카카오맵, 카카오톡 예약하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멜론(음악 스트리밍) 등이 포함됐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챗GPT 포 카카오에서 "양재역에서 7명이 저녁 회식할 장소 알려줘"라는 대화를 시작하면 카카오 툴즈의 카카오맵이 연동된다. 대화창에 추천된 장소를 클리하면 카카오맵으로 장소 정보를 확인하고 카카오톡 예약하기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 툴즈의 AI 에이전트 종류와 수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카카오 툴즈는 멜론 등 카카오 그룹의 서비스로만 구성됐다. 유 성과리더는 "내년부터 외부 서비스를 순차 적용할 것"이라며 외부 서비스를 활용한 AI 에이전트 제공 가능성도 내비췄다.

챗GPT 포 카카오는 오픈AI의 최신 AI 모델인 GPT-5.0을 기반을 제공된다. 향후 오픈AI가 챗GPT에 적용할 차세대 모델도 챗GPT 포 카카오에 적용된다. 오픈AI 계정으로 챗GPT를 사용하던 이용자는 기존 계정으로 챗GPT 포 카카오를 사용할 수 있다. 챗GPT 무료 이용자에게는 오픈AI 정책에 맞춰 질의응답·이미지 생성 횟수가 제한된다.
카카오는 올해 2월 오픈AI와의 협력 계획을 공개했다. 이때부터 카카오톡 이용자의 데이터가 오픈AI의 AI 모델 학습에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카카오는 이용자가 직접 대화 내용 저장 여부와 AI 학습 반영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 성과리더는 "사용자의 데이터 주권을 우선한다"며 "카카오와 오픈AI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준수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