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셀 충전상태(SoC) 불균형으로 일어나는 테슬라 ‘BMS_a079’ 오류에 대한 정부의 강제 리콜 조치가 해를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소속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아직 세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KATRI 관계자는 점차 확산되는 테슬라 BMS_a079 문제와 관련해 “아직 조사 중”이라며 리콜 대책에 대한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변하지 않았다. 그는 4351대가 넘는 차량 소유주들의 수리비 부담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아직 조사를 벌이고 있어 답변을 드릴 사항이 없다”는 말만 반복했다.
국토부와 KATRI 등은 올해 8월 BMS_a079 오류의 문제점을 인식한 뒤 테슬라코리아와의 대면미팅에서 상황을 파악했다. 당시 KATRI는 BMS_a079 오류 문제로 강제 리콜할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9월 이후 BMS_a079 오류를 겪거나 수리를 받은 차량이 4351대 이상에 이르면서 국토부 차원의 리콜 등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국회와 소비자 등으로부터 제기됐다.
상황의 심각성을 느낀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실의 서면질의 답변에서 “KATRI는 국내에서 판매된 테슬라 전 차종에 대해 BMS 제작 결함 가능성 조사를 의뢰한 상황”이라며 “이 조사는 제작 결함을 확인해 강제리콜 절차를 밟기 위한 예비조사로 보이며, 수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BMS_a079 관련 문제점이 커지자 소비자들도 온라인 등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30일 현재 국회에 올라온 관련 청원의 동의 수도 8657명에 이른다. 국토부가 “테슬라 BMS_a079 오류 관련 민원은 단 1건도 없다”며 큰 문제로 여기지 않는 것과 대조적이다.
소비자원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과 1372소비자상담시스템 등을 활용해 소비자 권리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업무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