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준 네이버 COO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5'에서 A에이전트N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윤상은 기자
김범준 네이버 COO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5'에서 A에이전트N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윤상은 기자

 

네이버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는 검색·커머스·지도·콘텐츠 등으로 구성된 자사 생태계를 토대로 제작된다. 네이버는 내년 1분기 쇼핑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2~3분기 중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외에 경영 컨설턴트와 비슷한 '에이전트 N 포 비즈니스', 태국 관광 AI에이전트 등 분야별로 서비스를 개발한다. 네이버는 자사 생태계를 바탕으로 한 AI에이전트로 이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러나 자사 생태계 안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 네이버는 블로그, 카페 등 사용자생성콘텐츠(UGC)를 확보했지만 해외 지도·콘텐츠까지 원하는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5'를 열고 '에이전트N' 전략을 공개했다. 이는 전 사업에 AI기술을 적용해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을 발전시킨 것이다. 에이전트N은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분석하고 알아서 실행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날 최수연 대표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AI에이전트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는 기업은 흔하지 않다"며 네이버 생태계 기반 에이전트의 장점을 강조했다.

 

내년 1분기 '쇼핑 에이전트' 출시

가장 먼저 가시화될 에이전트N 서비스는 쇼핑이다. 네이버는 네이버플러스스토어를 기반으로 내년 1분기 중 쇼핑 에이전트를 출시한다. 이용자의 연령, 관심사, 주요 구매패턴 등을 분석해 쇼핑을 보조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생수를 사는 이용자에게 재구매 시기가 다가올 때 맞춤형 상품을 먼저 추천하는 식이다. 

김범준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술로 개인을 대표하는 페르소나(정체성)를 한 문장으로 기술할 수 있다"며 사용자 최적화를 자신했다. 이어 "그 사용자에게 어떤 정보와 행동을 제안하면 좋을지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 검색 서비스처럼 수동적으로 답변을 제공하던 것과 달리 AI는 스스로 실행력을 갖췄다는 뜻이다. 

네이버는 내년 6월 검색·쇼핑·콘텐츠 등의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에이전트를 내놓을 예정이다. 통합 에이전트는 같은 시기에 출시할 예정인 AI검색 서비스 'AI탭'을 기반으로 한다.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정보, 지도, 쇼핑, 예약 등 여러 서비스를 제안하는 방식이다. 김 COO는 "AI에이전트에 대출한도를 물으면 정확히 답변할 수 있는 수준까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6이 열렸다. 한 참여자가 전시관에서 소버린AI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윤상은 기자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6이 열렸다. 한 참여자가 전시관에서 소버린AI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윤상은 기자

 

디지털마케팅 에이전트도 준비

네이버는 디지털마케팅, 농업, 스마트팩토리, 유통, 금융, 코딩 등 다양한 분야의 버티컬 AI에이전트도 준비하고 있다. 디지털마케팅 영역의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는 경영 컨설팅과 광고 기획·실행을 보조한다. 이날 이종민 광고사업부문장은 "개별 사업자가 똑똑한 비서실장 한 명을 두는 것과 같은 효과를 목표로 한다"고 소개했다.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입점 업체를 포함한 온오프라인 사업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AI를 적용해 매출·업종 비교·분석, 실시간 가격 책정, 메뉴 책정, 목표 소비자 분석 및 설정, 광고 캠페인 기획·자동집행 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매출 하락을 걱정하는 음식점 사장에게 그동안의 매출 추이와 경쟁 업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새로운 메뉴를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소셜미디어(SNS)·지면광고 등 적절한 마케팅을 제안하고 실행한다.

네이버는 에이전트N 비즈니스의 구체적인 출시 시기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달 중순부터 AD부스트 기능을 개편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광고 자동노출을 지원한다. AD부스트는 네이버에서 광고를 집행하면 지원되는 서비스로 네이버 내 광고 자동노출과 실시간 입찰 등을 뒷받침한다. 내년부터는 AD부스트의 자동 광고노출 지원 SNS를 유튜브로 확대한다. 

이외에도 네이버는 태국 AI기업인 시암AI와 관광 AI에이전트를 공동개발하고 있다. 

 

"외부 연동 생각 안 나도록 생태계 구현"

네이버 AI에이전트의 특징인 자사 생태계 기반은 장점이자 단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단적인 예로 AI탭 사용자가 동영상 기반 정보검색을 원할 경우 유튜브에 비해 현저히 적은 콘텐츠의 한계가 부각될 수 있다. 해외여행 계획을 세워달라는 주문에도 해외 지도 검색이나 음식점 예약 등을 빠르게 구현할 수 없다. 

이에 대해 김 COO는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생태계를 만들어놓았다"고 설명했다. 이미 네이버에 UGC가 많고 검색뿐 아니라 쇼핑·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한 생태계가 있다는 뜻이다. 

김 COO는 네이버 AI에이전트도 해외에 진출할 수 있다고도 자신했다. 북미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툰엔터테인먼트(IP), 포시마크(커머스) 등을 활용해 버티컬 AI에이전트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