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 위치한 카카오의 사무 공간 '카카오 아지트' /사진=윤상은 기자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 위치한 카카오의 사무 공간 '카카오 아지트' /사진=윤상은 기자

 

카카오가 광고 사업 호조에 힘입어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2000억원을 넘어서며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08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9% 늘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조86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했다.

카카오는 7일 이와 같은 실적을 발표했다. 브랜드 메시지 등 새로운 광고 수익원으로 인한 효과가 반영됐다. SNS형 프로필, 숏폼 적용 등 카카오톡 개편은 9월 말 시작했기 때문에 이 영향은 미미했을 것으로 보인다.

각 사업 영역 중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1조598억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34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톡비즈 광고의 매출은 32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늘면서 전 분기에 이어 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덕분이다.

선물하기와 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매출은 2087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는 추석 연휴가 10월에 속하면서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4분기로 이연됐음에도 불구하고 선물하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성장했다. 선물하기 내 자기구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커머스의 통합 거래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4527억원이다. 카카오페이는 증권과 보험을 포함한 금융 자회사의 매출 성장은 물론, 데이터 기반 플랫폼 서비스가 견조한 성과를 내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가속화했다.

콘텐츠 부문의 3분기 매출은 1조 26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증가했다. 뮤직과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75% 증가한 5652억원, 958억원을 기록했다. 뮤직의 경우 주요 아티스트들의 성과가 이어졌다. 미디어는 이연 작품의 매출 인식과 제작 진행률 상승 효과가 반영됐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과 대화만으로도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실행까지 완결할 수 있는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구현해 가고 있다. 이를 위해 대화 맥락 속에서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 카카오맵·선물하기·멜론 등과 연동되는 AI에이전트 '카카오 툴즈'를 적용한 챗GPT 포 Kakao 서비스를 출시했다. 앞으로도 AI 생태계 확대를 위해 카카오 툴즈에 금융, 모빌리티 등 그룹사 내 주요 기업간거래(B2C) 서비스를 연동할 예정이다.

카카오톡의 경우 이용자 피드백을 수렴해 4분기 중 친구탭 개편을 완료하는 등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진행한다. 맞춤형 폴더 기능 강화, AI 요약하기 서비스 확대 적용 등 편의기능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카카오톡 메시징의 경험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정신아 대표는 "올해는 카카오의 그룹 거버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면서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을 완료했다"며 "내년부터는 AI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신규 매출원으로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2025년 3분기 카카오 실적(단위:십억원) /사진 제공= 카카오
2025년 3분기 카카오 실적(단위:십억원) /사진 제공= 카카오

 

키워드
#카카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